국립대 여교수 100명 중 8-9명 불과

급격히 늘고 있는 여성박사의 노동시장 내 지위 제고와 미 취업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무엇인가. 지난 9월 8일 여성부와 한국여성학회 공동주관으로 동덕여대에서 열린 '여성박사의 위기와 대응' 심포지엄은 여성박사 인력 생산자인 동시에 수요자인 대학사회에 진지한 고민을 가져다 준 장이었다. '여자박사인력의 공급 및 활용실태' 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진로정보센터 진미석 소장은 "여성박사 인력이 해마다 급속히 늘고 있지만 여성에 대한 차별과 취업기회가 상대적으로 제한된 인문사회계열 및 기초과학분야에 여성박사 전공이 집중되면서 취업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해방 이후 배출된 여성 박사 총 1만2500여명. 이중 대학교수(42.5%), 자영업(11.5%), 연구소(3%) 취업을 제외하면, 나머지 40%는 시간강사를 전전하거나 취업을 포기했다. 지난 1998년부터 2000년 10월말까지 박사학위 취득자(21개 대학) 중 정규직 취업을 하지 못한 경우는 남자박사가 32.2% 반면, 여성박사는 42.3% 였다. 더욱이 인문학의 경우 여자 박사취득자 미취업률은 81.3%(88년기준)에 달했으며, 1999년 들어 94.4%로 한층 높아졌다. 취업률뿐만 아니라 대우에 있어서도 여성박사는 차별 당했다는 것이 진 소장의 주장. 박사 학위 소지자 8백66명(여성 2백3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남성 박사의 연평균 소득은 2천6백68만원인데 비해 여성박사는 1천6백20만원에 그쳤다. 여성 박사들의 전공별 분포를 보면, 지난 1998년 인문학 22.4%, 사회과학 15.3%, 이학 13.5%, 공학 4.3%, 의약학 22.2%, 기타 22.4% 등이었으며 이 가운데 외국 박사 62.4%가 인문학 전공자로 나타났다. 인문학분야와 이학분야의 박사학위 수급 측면에서 살펴보더라도 향후 여성박사학위 취득자들의 취업난은 더욱 심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가능하다. 이러한 여성박사의 문제는 단순히 차별 당하는 여성박사 당사자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최근 정부 당국이 실토했듯이 '여성 인적자원의 활용'은 21세기 국제경쟁시대에서 국가의 흥쇠을 좌우할 수 있는 과제이기 때문이다. '여자박사의 노동시장내 지위에 대한 여성주의적 해석과 대응'이라는 주제를 발표한 한국여성개발원 민무숙 연구원은 이에 대한 해답으로 대학사회와 대학인의 인식 변화 및 이를 위한 각종 제도적 장치 마련을 촉구했다. 박사들의 가장 큰 취업시장인 대학의 교수임용. 일반 대학만을 보면 국공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여자박사들에 대한 장벽이 두드러진다. 2001년도 현재 사립대학의 여자박사현황은 16%를 보여주고 있으나 국공립대학은 8.8%에 머물고 있다. 국공립대학의 교수 100명중 여교수의 숫자가 8∼9명에 불과한 것이다. 이중에서도 여성들이 대부분 양성되는 가정 계나 간호 계를 제외하면 6.5명이다. 지성인이라고 하는 대학사회조차 여성에 대한 차별이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공식 틀보다는 내면적으로 여성에게 불리한 관행이나 인식이 심 각하다는 것이 민 연구원의 주장이다. 민 연구원에 따르면,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당국의 말이 아닌 법적 제도적 구축 등의 행동이 필요하다. △여성박사배출과 활용 관리와 DB 및 패널자료 구축, 공무원 임용령을 개정하여 여성공무원 채용 목표 제를 실시한 것처럼 △대학교수 임용과 관련하여 교육공무원임용령 등에 관련조항 실시 △대학 내 성차별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기구 설치, 여성박사 임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기금연구자제도 도입 및 각종 인센티브 제도 마련 등이 그것이다. 지금까지 우리 학계는 여성박사의 노동시장 내 지위나 미 취업 문제에 대해 공개 토론을 개최한 적이 거의 없었다. 여성박사는 선택받은 여성이라는 관점에서 여성문제에서 조차 논의에서 제외돼 왔다. 이제 지식인들 스스로 자신이 속한 사회의 모순을 곱씹어 보아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