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교육 이용 사회/상경계열 가장 높아

전국대학사이버교육기관협의회(협의회, 회장 정인성, 이화여대 교수)가 최근 '전국 대학의 사이버교육 현황분석 2001'이라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사이버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1백 51개 대학(전문대 원격대 포함)의 사이버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사이버 교육 운영 유형, 조직 및 예산, 관련 정책 등을 조사한 이 보고서는 세부 내용에 응답한 대학이 39개교에 불과 하는 등 많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 고등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사이버교육 종합 보고서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이 보고서는 우선 국내 사이버 교육이 양적으로는 선진국에 못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사이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4년제 대학은 총 1백1개 대학으로 국공립대 20개교, 교육대 6개교, 사립대 75개교였다. 사이버교육을 실시하는데 근간이 되는 조직과 예산을 보면, 우선 대학에 사이버교육을 전담하는 조직이 있는 대학은 응답대학의 58.8%로 나타났다. 조직 구성 면에서 보면 전담조직이 있는 경우 전임교수가 평균 1.79명, 전담 직원이 평균 2.16명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은 평균 국공립대가 7천만 원, 사립대가 4억5천만 원이었다. 대학 당국의 사이버 교육 의지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이버강좌 개설방법의 경우 교수나 강사 중 희망자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개설하는 형식이 대다수를 이뤘다. 개설 희망자를 공모 후 심사해 개설을 허용하는 경우는 39.4%였고, 의무적으로 지정해 강좌가 개설되는 경우는 하나도 없었다. 대학 학부별로 실시되고 있는 강좌 현황을 보면 사회/상경대학가 가장 많이 개설됐으며, 문과/인문대학, 자연대학 공과대학이 비슷했고, 사범대학이나 예체능 대학의 사이버 강의는 미미했다. 이는 면대면 교육을 중요시하는 학문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이버교육의 질을 가늠할 수 있는 전문성에 있어서는 교육설계의 경우 전체 대학의 76.5%가 해당 교수가 담당했고, 담당기관이 개발하는 경우는 38.2%에 그쳤다. 교육에 대한 평가 역시 해당 교수가 자율적으로 자신을 평가했으며, 학생에 의한 평가 15.8%, 자체 기관에 의한 평가가 18.8%였다. 이 보고서는 양적 팽창이라는 한계를 뛰어넘어 사이버 교육의 질적 도약을 위해서는 △엄격한 학사관리 △강의 과정에서 교수지원체제 강화 △사이버교육 개발과 운영의 전과정에 필요한 최소한의 지침과 규정 마련 △대학평가에서 보다 정교화 된 사이버교육 평가 항목 개발과 적용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