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대학이 운영하는 비용보다 공유대학의 편익이 더 커

인구 통계적 변화‧국제화‧4차산업혁명…고등교육 환경의 빠른 변화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살아남고 싶다면 서로 협력해야”

[한국대학신문 주현지 기자] “국내 대학들은 백화점식 교육과정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대학 재정이 넉넉할 때야 가능했다. 앞으로 각 대학들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특성화‧차별화하고 이것을 공유해야 한다. 앞으로 공유대학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질 것이다. 공유대학을 통해 대학 정체성 확보와 경쟁력 향상이 가능할 것이다.”

황준성 숭실대 총장은 5월 31일 서울클럽에서 열린 프레지던트 서밋 6차 콘퍼런스에서 ‘공유경제와 대학’ 사례발표에서 이같이 말했다.

황준성 총장의 발표 키워드는 ‘변화하는 환경 속 공유대학의 필요성’이었다. 사례 발표 서두에서는 고등교육 환경의 변화에 대한 설명이 이뤄졌다.

황 총장은 “학령인구가 줄어들고, 대학 재정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시점에서 라이프 사이클이 짧은 지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대학마다 고가의 연구장비를 구입하기에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환경과 구조의 변화 속에서 공유대학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된다. 공유경제적 관점에서 개별 대학이 운영하는 비용보다 공유대학의 운영을 통한 편익이 더 크다”며 “고가의 연구장비를 공동으로 사용해 캠퍼스 공간의 제약을 해소하고, 공동 포털을 이용해 정보교환의 활성화를 이뤄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황 총장은 “평생학습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제 교육기관은 다양한 연령층이 맞춤형으로 유연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앞으로 대학은 고급 엘리트를 양성하던 기관에서 평생 교육의 장으로 탈바꿈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황 총장은 교육의 국제화의 흐름 속에서 공유대학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국가 간 프랜차이즈 교육과 역외 교육 수요가 늘었다”면서 “교육의 국제화에 대해 개별 대학이 대응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이 부분도 타 대학들과 협력한다면 효과적인 국제 교육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대학 간 공유를 확대하면 대학이 속한 지역사회와의 공유가 이뤄질 수 있다”면서 “지역민에게 도서관을 개방하는 등의 사례가 그 예다. 앞으로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열린 대학의 필요성 역시 늘어나게 될 것이고, 이것이 대학이 재정립해야 할 새로운 개념이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어 해외 공유대학 사례가 소개됐다. 미국 동부는 워싱턴 지역을 중심으로 17개 대학이 오프라인 학점 교류 수준에서 공유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 서부에 있는 UC 계열 대학들과 미국 남부의 대학들 역시 지역 내에서 오프라인 형태로 학점을 교류하고 있다.

유럽은 에라스무스(ERASMUS) 프로그램을 통해 EU 내 위치한 대학 간 학생을 자유롭게 교류하고 있으며, 유럽 공통학제를 도입하기도 했다. 특히 고등교육의 대부분을 국공립대학이 책임지고 있는 독일은 대학 간 학생들의 교류가 더욱 유연한 편이다. 일본은 교토 지역을 중심으로 일반대와 전문대학 등 43개 대학이 1993년부터 공유대학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숭실대의 공유대학 사례 소개가 이어졌다. 황 총장은 “숭실대는 기독교대학으로서 서울여대‧명지대와 학점 교류를 실시하고 있으며, 중앙대‧인하대와는 대학원을 중심으로 학접 교류를 해오고 있다”면서 “해외 대학과 공동 및 복수 학위를 운영하는 해외 대학을 확장해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