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성 그치는 환경부 지원 사업으론 부족해

전문가 “대학의 지속가능성 평가하는 제도 도입 필요”

▲ 2018년 환경부 그린캠퍼스 조성 지원사업에 선정된 대학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한국대학신문 이지희 기자] 최근 미세먼지, 플라스틱 폐기물 대란 등 환경문제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학에도 친환경 교육 그린캠퍼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정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린캠퍼스는 ‘미래 친환경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및 연구, 지역사회에 친환경 문화 전파, 온실가스 발생 저감을 위한 친환경 교정 조성 활동 등 지속가능 사회를 위한 대학을 운영하는 대학’을 말한다.

국내에서는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이 2011년부터 현재까지 그린캠퍼스 지원 사업을 지속해오고 있다. 2016년까지는 총 40개 대학을 그린캠퍼스로 선정해 매년 4000만원씩 3년간 지원해 오다가 2017년부터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그린캠퍼스 조성 우수 학교’를 선정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지난달 말 그린캠퍼스에 선정된 대학은 목포대·성결대·인천대·중원대·한양대 5곳이다. 이들 대학은 8000만원에서 1억4000만원까지 총 5억원의 사업비가 지원된다.

김영훈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그린캠퍼스 선정을 두고 “친환경 그린캠퍼스를 조성하고 있는 우수 대학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성과를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라며 “대학이 지역사회의 중심축으로 앞장서 친환경을 실천해 지속가능 사회 실현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환경부의 이런 포부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그린캠퍼스 지원과 확대를 위한 정책이 단기성에 그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그린캠퍼스 관련 연구를 해온 한 교수는 “사실상 그린캠퍼스는 지속가능한 대학,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한 발판이라고 볼 수 있는데 지금의 방식은 행사성에 그친다”며 “대학들이 그린캠퍼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적은 금액과 단기 지원은 대학이 그린캠퍼스를 조성할 만큼의 충분한 지원이 되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이 때문에 지원 기간이 끝나거나 대학 경영진의 기조가 바뀌면 흐지부지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해외 대학의 경우 2000년 초반부터 저탄소 그린캠퍼스 운동을 위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 하버드 대학은 2000년에 이미 저탄소 그린캠퍼스 운동을 시작해 관련 펀드를 제작하는 등 온실가스 저감, 에너지 절약을 실천해오고 있다. 이로 인해 절감한 금액은 학교에 재투자 하는 방식으로 선순환된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그린캠퍼스와 관련해 대학들의 환경 지수를 평가하고 있다. 영국은 2004년부터 ‘Green Gown awards’와 ‘Green League’ 등이 그린캠퍼스 평가 제도를 운영 중이고, 미국은 환경운동 단체에서 ‘Cool School’이란 명칭으로 대학의 그린캠퍼스를 평가 중이다.

선진국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나 태국 등 개발도상국에서도 이미 그린캠퍼스에 대한 관심은 높다.

인도네시아는 ‘UI Green Metric World University Rankings’라는 평가 지표를 통해 △에너지와 기후변화 △수자원 △대중교통 △폐기물 등 6개 부문에서 심사를 하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75개국 515개 대학이 이 평가에 참여하고 있다.

박태윤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 회장(연세대 교수)은 “지금의 단편적인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학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들어가게 되면 대학의 그린캠퍼스 참여를 더 확대·장기화할 수 있다”며 “그린캠퍼스는 단순한 환경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 발전의 의미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런 평가 도입을 위해서는 환경부뿐만이 아니라 교육부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