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종(본지 논설위원/전 경희대, 덕성여대 교수)

정부와 여당이 서울대와 외나무다리에서 맞부딛혀 힘겨루기를 하는 형국이 벌어지고 있다. 서울대의 2008학년도 입시안 발표와 정부의 실력 저지 통고가 그렇다. 정부는 통합형 논술고사가 본고사 부활이므로 용납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서울대만을 향한 엄포는 아니다. 연세대, 고려대는 물론이고 비슷한 형태로 논술고사 비중을 강화해 나가려는 모든 대학이 타겟이다. 그런데 이 싸움에서 서울대가 이길 가망은 별로 없어 보인다. 정부는 법 제정을 통해서라도 밀어붙이겠고 공표해 버려서, 여기서 후퇴하면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와 여당의 체면이 모두 깎일 판이어서 철회도 어렵기 때문이다. 정부와 여당이 이렇게까지 강경해진 이유는 무엇일까? 물론 새 입시안이 사교육을 더 부추기고, 이 때문에 공교육이 더욱 맥을 못 추게 되고, 과외비 증가로 부자들만 일류대로 더 많이 가게 되어 교육기회 균등이 깨지고, 결국은 빈부 계층적 구조가 고착화 되고, 학생들은 더욱 입시공부에 허덕이게 된다는 것 등이 이유다. 이밖에 정치적 계산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것은 잘못된 판단이다. 인터넷에는 한 고교생의 이런 글이 실려 있다. “찍는 것도 안 되겠네요. 미치겠어요. 수능은 고등학교 때까지만이라도 잘 하면 되겠지만 논술고사는 완전 중학교 때 것도 나올 수 있다는 거잖아요?” 서울대 입시안에 대한 반대 여론은 이런 데서부터 시작된다. 지금까지는 윷판처럼 연필을 또르르 굴리고 아무데나 찍어도 4분의 1, 5분의 1은 맞출 수 있었으니 어찌 불만이 없으랴. 그런데 이런 것도 인재 뽑는 고사인가? 또 통합논술이라면 중학교 때 배운 것도 써먹어야 하니 겁날 것이다. 그런데 그게 말이 되나? 초등학생 때 배운 것도 잊지 말고 있어야 되지 않나? 통합형 논술에서는 영어, 수학, 물리학, 역사, 문학 등 모든 교과목의 실력이 통합 동원될 수 있다. 아니 통합이란 설명이 없더라도 모든 논술은 통합형이다. 필요하다면 엄마 젖 빨던 기억까지도 재생시켜 논리적 근거를 찾아야 하는 것이 논술이다. 그러므로 점찍기에만 익숙했던 학생이라면 정말 새 입시안 앞에서 망연 자실하고 학원부터 찾아가고 싶어질 것이다. 그렇다면 논술 비중이 강화되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학문의 다양한 지식은 다른 지식과 통합될 때만 살아 있는 지식이 된다. 단어 백만 개를 알아도 그것은 주어, 서술어, 목적어 등으로 한 문장을 구성하며 통합될 때만 하나의 살아 있는 언어가 된다. 그리고 이것이 긴 문장의 논술일 때는 심층적 창의적 실력을 모두 드러낸다. 그 뿐만 아니라 논술은 그의 인생관, 세계관까지 반영한다. 그러므로 인재선발에서 논술은 필수이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야 한다. 그러데 이런 논술 실력은 입시학원에서 키워지는 것이 아니다. 논리적 사고력은 학원선생의 기술지도로 되는 것이 아니라 광범한 독서를 바탕으로 스스로 키워 나갈 길밖에 없다. 논리적 저술로 명저를 낸 세계적인 사상가 중 단 한명이라도 남한테 논술 지도 받아서 그 경지에 간 사람이 있을까? 결국 이 입시방안이야 말로 머지 않아서 입시학원으로 가는 학생들의 발길을 되돌리게 하고 공교육을 정상화시킬 최선책으로 확인될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세계의 많은 대학들이 오래전부터 그래왔다. 그러므로 정부 정책은 재고되어야 한다. 그뿐 아니라 민주 정부가 대학자율권을 이렇게까지 제한해도 될 것인가? 이대로 밀어붙인다면 이것은 국가권력이 충분한 설득력도 없이 대학의 자율성을 강제로 짓밟은 가장 대표적인 예로 기억될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