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별력 어떻게 보강하나"...대학가 반응

우여곡절 끝에 2008학년도 이후 대입제도 개선안이 확정·발표됐지만 학생 선발을 담당한 대학의 고민은 여전히 어떻게 변별력을 보강하느냐로 모아지고 있다. 서울지역 대학 입학처장들은 새 대입제도가 고교 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긍정적인 평가를 하면서도 “논술, 면접 등 변별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학의 노력이 또 다시 ‘대학 자율권 2라운드’로 번지지는 않겠느냐”, “교육의 ‘형평성’만큼 ‘수월성’도 보장됐어야 한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처장들은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새 대입제도가 제대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대학의 학생선발 자율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김종덕 한국외대 입학처장은 “학생부가 강화되고 수능 변별력이 약화된 상태에서 각 대학의 관심은 어떤 변별력으로 학생을 선발할 것인가로 모아질 수밖에 없다”며 “학생부 성적이 동일고교 내에서는 비교 가능하지만 다른 학교 사이에서는 여전히 변별력이 없는 만큼 앞으로 교육부가 고교간 학력격차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갈 것인가를 관심있게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김완진 서울대 입학관리본부장은 “예상했던 내용이 대부분 포함돼 있고 다양한 견해들을 수렴해서 안을 낸 거 같다”면서 “대학의 자율권을 반영할 수 있는 틀이 마련된 만큼 지금부터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본부장은 “교육의 형평성 추구도 중요하지만 수월성 있는 교육을 추구하는 것도 필요한데 이런 부분이 언급이 안돼 아쉽다”며 “예를 들어 대학이 사회통합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그렇다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는 권한 역시 대학에 줘야 한다”고 대학 자율권을 재차 강조했다. 이기태 경희대 입학관리처장은 “대입안의 본 취지에 긍정적이지만 본래 취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처장은 특히 “지역균형선발 등이 지역·사회적 평등 안배를 고려한 제도라고 보지만 취지와 다르게 활용될 우려도 있다”며 “농어촌지역에 허위로 주소를 등록하거나 실업계고교로 우회해 대학에 입학하는 경우, 이를 알선하는 브로커나 컨설턴트 등이 생기는 등 반작용도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처장은 또 “정보공시제 시행 등으로 대학은 경쟁상황에 놓이게 됐지만 교육은 비경쟁적 환경으로 조성되고 있다”며 “본고사를 금지하고 원점수 표시를 허락하지 않는 것은 결국 교육을 평준화시키겠다는 것으로 상위집단에 대한 수월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용구 중앙대 입학처장은 “학생부 성적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한 제도개선과 입학사정관 도입으로 입시의 전문성을 제고한 점은 긍정적인 면으로 본다”면서도 “수능성적의 등급화로 전체 학생을 하나의 기준으로 평가하던 기준이 사라진 만큼 대학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학생 선발 방법이 필요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 처장은 “이번 개선안에는 3불 언급이 없어 결국 이 제도의 성패는 대학에 얼마나 자율권을 주느냐에 달려 있다”며 “변별력을 반영하기 위한 논술고사, 면접고사 등 대학 자체의 학생 선발 방법이 자칫 대학 자율권 제2라운드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조영석 국민대 입학처장은 “수능 일변도로 줄을 세우기 보단 다양한 전형요소를 반영할 수 있어 학생들의 잠재력과 창의성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특히 조 처장은 입학사정관제에 대해 “고등학교가 제공하는 정보가 신뢰성을 갖는다는 전제 하에서 입학사정관제도는 충분히 제 역할을 다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조 처장은 “이번 확정안에 3불 정책에 대한 언급은 없다”며 “대교협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화창구 역할을 잘 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총성의 성신여대 입학처장은 “내신 부풀리기로 인해 고교 교육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고교간 객관적 학력차이가 입시에서 반영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의 학생선발의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는 수능의 비중이 줄었다”며 “당분간 대학이 학생을 선발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총 처장은 “그러나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학생선발제도의 다양성, 객관성,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이와 함께 고교교육의 신뢰 회복을 위한 고등학교와 교육부의 노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성민ㆍ김슬기ㆍ이현준 기자 news@unn.net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