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수사회내 관행처럼 자리잡고 있던 ‘여교수의 성차별 문제’가 도마위에 올랐다. 전국여교수연합회(회장 이소우)는 지난 22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대학사회 내 여교수의 참여적 현실’을 주제로 학술세미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전국 남녀공학 일반대 소속 여교수들은 직접 경험했던 ‘여자가 교수가 된 이후’ 성차별적인 상황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주제 발제를 맡은 김혜순 계명대 교수(사회학)는 ‘여교수, 여자인가 교수인가:성평등한 대학사회를 위한 문제제기’라는 주제로 대학에서 여교수들이 경험하는 ‘차별’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김 교수는 여교수가 되는 과정이나 여교수가 보직에 임명되는 문제는 공론화돼왔지만, 교수발령 이후의 문제에 대해서는 거의 드러나지 못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까지 △대학에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기준이 적용될 것이라는 기대 △혜택받은 집단의 배부른 불평이라는 비난 △남성중심의 조직에서의 생존전략 등의 이유로 ‘여교수 성차별’문제가 예외적이고 개인적인 문제고 묵인됐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또 대학에서 여교수가 차별받는 것은 실력있는 여교수가 적기 때문이 아니라, 업무수행, 대학에서의 일상, 행정보직 수행에서의 교수채용관행상의 문제 등 남성중심적인 대학의 성차별 풍토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현재 대학에서는 연구와 행정 등 전반적인 교수직 수행과 평가가 남자 교수 중심으로 구성돼 있어 출산, 육아, 가사 등을 두루 돌봐야 하는 여교수에게 불이익이 돌아갈 수밖에 없다며 여교수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성차별적 상황을 지적하기도 했다. 또한 김 교수는 공공연히 오고가는 음담패설이나 이른바 ‘끗발있는’ 남교수들의 눈에 들고자 시도되는 일부 여학생들의 접근(!) 앞에서 ‘자리를 썰렁하게 할 것인가 함께 망가질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는 현실을 말하며, “남교수들에게 여교수는 동료교수이기보다는 ‘여자’로 느껴질 뿐”이라고 비판했다. 김 교수는 “대학인으로서 여자는 소수 고학력 집단 여성으로서 특수하고 국지적인 경험을 하고 있기보다는 형식적 권리에서부터 생활에 관련된 것까지 ‘여자’가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성차별적 상황에 놓여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섬처럼 표류하던 여교수들’이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단합할 것”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