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광식 논설위원(상지경영 컨설팅 회장)

언론의 생명은 자유와 독립이다. 이른바 국민의 알권리는 뉴스의 전달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다. 그 뉴스의 진실이 드러나야만 가치 있는 언론이 된다. 진정한 언로는 따라서 어떤 구속으로부터도 자유로워야 하며 간섭이 배제되어 있어야 한다. 조작된 뉴스는 국민을 오도함은 물론 언론 자체를 타락하게 만든다. "말 길이 바로 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는 고전적 금언은 오늘날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언로를 여는 매체들이 항상 이 원칙에 철저하며 거짓을 몰아내고 선동을 억제하느냐 하는 부분에는 항시 많은 문제들이 제기 되어 왔다. 이른바 황색저널리즘이나 그 아류 선동 언론은 항시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언론에 대한 국민들의 감정은 애증이 교차된다. 언론을 사랑하면서도 질타한다. 가장 미움이 강하게 표출될 때는 권력과 같이 놀아나고 있을 때다. 정치적 이유에서 선동적일 때는 일반 독자 보다는 지식인 세계가 비판의 날을 세운다. 정부가 예의 언론 선진화 방안이란 걸 마련했다. 말이야 질 높은 뉴스를 전하게 하려는 것이라지만 그 밑바탕에는 언론 불신의 감정이 깔려있음을 엿 볼 수 있다. 뒤집어 말하면 "선진화"의 강조는 "후진성"에 대한 반동이다. 선동과 황색의 저널리즘으로 규정짓고 내린 조치라 말할 수가 있다. 물론 합동 브리핑 룸을 통한 개방적 방식의 확대를 꾀한다 하더라도 그 본질은 반언론적 자세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권력의 언론 통제는 아주 오래된 역사를 지닌다. 군사독재 시절 문공부의 홍보조정실은 이른바 "조율언론"이란 방식으로 뉴스를 죽이고 살리고 조작했다. 보다 권력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보도에는 안기부가 직접 개입했다. 문공부 장관은 직접 신문방송의 제작진에 개별 압력을 넣기도 했다. 그리고 이런 반언론적 행태 뒤에는 전직 언론계 인물들이 개입되어 있었다. 그리고 수 십 년이 흘러 다시 언론의 규제가 권력에 의해 제기 된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권력의 언론관이야 말로 후진적 면모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아무리 언론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이라 하더라도 그 목적의 본질은 언론 권력 위에 정치권력이 있다는 치졸한 오기라 보지 않을 수가 없다. 이번에도 예외 없이 조치의 배경에는 대통령의 반언론적 감정과 이를 책동하는 전직 언론 인사들이 진을 치고 있다. 언론은 예외 없이 "벌떼 같이" 정부를 성토하고 나섰다. 정부의 부당성에 감정이 격해진 일면은 그 지면 할애에서 드러난 융단폭격이다. 그리고 대통령 후보 경쟁자들에게서 반대여론을 이끌어 내고 있다. 정부의 언론 간접 지배의 속임수라는 측면을 벗어나서 보면 언론의 이런 태도 또한 비판받아야 할 대목이다. 과연 일반 독자와 국민들이 언론탄압으로 보고 있을까. 정치권력의 일방적 억압조치를 또 다른 정치집단의 힘을 빌려 대항하는 것이 지정한 언론의 자세인가. 이른바 민주화 이후 언론의 천지개벽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은 언론의 총체적 힘보다는 언론 노조의 힘에 의존했기 때문이 아닐까. 그 나태함이 이렇듯 중요한 상황에서 편집 도배질이나 대통령 후보자들이라는 정치권력의 힘이나 빌리려 한다면 그것 자체가 후진성이다. 언론이 이번 사태를 중차대한 위기이며 탄압이라고 본다면 신문 방송을 중단하는 그야말로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마땅할 것이다. 언론 헌법 제1조 자유와 독립은 "스스로 쟁취하는 것"이란 뜻이 그 속에 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