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백열 전국대학평가협의회장(한양대 평가기획팀장)

가을은 땀 흘린 농부에게 보람을 안겨주는 결실의 계절이다. 평가도 농사일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든다. 평소에 열심히 일하지 않으면 수확이 좋지 않듯이, 대학도 꾸준히 노력하지 않으면 좋은 평가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얼마 전 중앙일보의 대학평가 결과발표에 이어 <더 타임즈>의 세계대학평가 결과가 발표되었고, 대교협의 학문분야평가가 목전에 있다.


1992년 대교협에서 시작된 대학인증 평가와 중앙일보의 대학순위평가는 그동안 대학의 교육여건을 개선함은 물론 대학의 질적 수준향상에 따라 대학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최근 일부 학회와 유수대학에서 평가를 거부하는 사태로 대학평가가 파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대학 평가를 관장하는 대교협의 회장교 조차도 대교협 평가를 거부하는 사태에 이르렀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올해 미국에서도  지의 평가에 대해 미국의 많은 대학들도 평가를 거부한 사례가 있었다. 이는 다양한 전통과 특성을 지닌 대학들을 평면적인 잣대로 줄 세우기 하는 데에 대한 반발로 이해된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나라의 대학을 평가하는 기관도 인증평가와 순위평가의 차이는 있지만 이와 같은 비판에 대해 반면교사로 삼을 필요가 있다 .


대학은 평가를 통하여 실태를 진단하고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여 발전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중앙일보의 평가는 상위순위만 발표해왔는데 각 대학이 각 지표의 위치를 가늠하여 전략을 수립 할 수 있도록 지표의 실 값을 모두 공개해야 한다. 또한 대학에서 제출하는 자료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평가방법이 강구되어 평가결과에 대한 의구심을 불식시켜야 할 것이다.

대교협의 '학문분야평가인정제'는 취지에 맞게 모든 대학이 평가를 받아야 하는 방식이 아니라, 대교협 평가 결과에 대한 인정 등급을 정하고 현 등급 보다 상위 등급으로 평가받기를 희망하는 대학만을 신청받아 평가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본다. 또한 그동안 평가 노하우를 토대로 대학의 특성화를 위한 컨설팅업무의 추진도 고려해보는 것 좋을 듯하다.


지난 9월 대학평가를 거부할 경우 행·재정적 불이익을 가할 수 있는 법적근거인 고등교육법 개정안이 국회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앞으로 정부에서 시행하는 평가 사업에 대학들이 지금처럼 평가거부사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학발전을 위한 대학평가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평가에서 제기되어 왔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위하여  대학의 규모와 특성 등이 고려된 새로운 대학평가제도의 도입과 함께 평가결과에 따른 인센티브 지원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것이 대학의 경쟁력을 향상시켜 국가경쟁력을 올릴 수 있는 지름길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