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동안 9800억원 투입, 성과 가시화

침체된 지방대에 새바람을 몰고 온 지방대 혁신역량강화사업(누리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곧 사업의 마지막 기간인 5년차로 접어들기 때문이다. 지난 4년 동안 약 9800억원이 투입된 누리사업은 지방대 혁신을 가져왔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산학협력을 통한 교육과정 혁신, 해외연수·인턴십 활성화, 장학혜택 확대 등 지방대 젖줄이 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새 정부 들어 누리사업에 대한 재검토설이 나도는 가운데 2단계 사업의 지속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4년 동안 누리사업의 성과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2단계 사업이 어떻게 추진되어야 할지 알아본다. <편집자 주>



부경대 CT인력양성사업단은 국문학과 교과과정의 70% 이상을 디지털 영역과 결합된 스토리텔링분야로 특성화시켜 인문학분야의 성공적인 혁신모델로 평가받았다. 또 순천대 바이오산업사업단은 지자체와 협력을 통해 산수유버몬트나 감식초 등 지역브랜드상품을 개발해 누리사업 성공사례로 호평을 받았다. 제주대 해양과학대사업단은 지역주민에게 소형선박조종사 면허 취득교육을 실시해 이들 중 96%가 자격증을 취득했다. 지난해 교육부가 발표한 누리사업 우수사례들이다.

■ 우수인재 양성·산학협력 성과 가시화

누리사업 3차년도 중간평가 결과 교육부는 누리사업을 통해 사업단의 사업추진역량이 향상되었고 대학특성화를 통한 우수인재 양성·산학협력의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누리사업이 가져다준 성과는 특성화 분야 교육여건 개선으로 지방대의 구조적인 악순환 연결고리를 끊고 선순환구조를 가져왔다는 것이다. 우선 누리사업에 참여한 사업단은 이미 학생 충원율 100%를 달성했으며 2004년 63%에 머물렀던 교원확보율도 지난해 85%대로 끌어 올렸다. 당연히 학생들의 취업률도 상승할 수밖에 없다. 사업초기 58.9%에 머물던 학생취업률은 지난해 71.3%로 수직 상승했다.

학생 자격증 취득 건수도 2만4833건으로 2005년도에 비해 2배가량 늘어났으며 학생들의 토익성적도 월등히 높아졌다. 뿐만 아니라 3년동안 1만2천여명의 정원이 감축되면서 지방대학 구조조정을 촉진시키는 효과도 가져왔다.

참여·비참여학생, 참여교수, 참여기업 등을 대상으로 누리사업의 효과를 알아본 조사에서도 누리사업이 지역 우수인력을 양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현철 성균관대 교수가 조사한 <누리사업이 지역경제 및 사회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응답자 중 학부학생 65%, 대학원 학생 71.5%가 대학이나 전공선택에 누리사업 참여여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학부생 44.6%, 대학원생 49.8%가 ‘누리사업에 참여하지 않았다면 다른 지역 소재의 대학을 선택했을 것’이라고 답해 누리사업이 지역인재 외부유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사회 발전에 물꼬

누리사업의 취지는 수도권 집중화를 막고 지방 경제 활성화와 지방대 경쟁력 강화로 요약된다. 교육과학부 강영순 과장은 “3년간의 사업을 통해 대학이 지방의 특색에 맞게 학생을 교육시키고, 교육시킨 학생을 지역산업에 취업시키기 위해 노력을 많이 했다”며 “대학이 가지고 있는 우수인력이나 자원을 활용해 싱크탱크 역할을 함으로써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데 물꼬를 텄다”고 말했다. 누리사업으로 인해 이들 주체들이 지역사회의 문제를 공동의 과제로 인식하고 함께 해법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댄 결과다.

최정도 지방대학육성(누리사업)협의회 이사장은 “누리사업으로 대학별, 학과별 경쟁 체제가 마련되면서 교육과정과 학생 지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며 “가장 큰 효과는 교육과정을 대대적으로 개편·혁신했다는 점, 학생들도 지방대의 핸디캡을 극복하고 자존감과 자신감을 키우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 2단계로 이어져야 성과 정착

누리사업협의회에는 1단계 사업을 통해 교육과 인력양성 여건이 크게 개선되었다고 보고 이런 성과들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2단계 사업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역인재의 지역 정착, 지역산업과의 구체적 연계성 확보, 지방대와 산업체 간의 연계 강화를 통한 고용연계형 산업교육모델 창출 등의 과제를 제2단계 사업을 통해 달성해야만 성공적인 누리사업의 완결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차용훈 누리사업협의회 홍보팀장은 “현 시점에서 누리사업이 종료된다면 누리사업의 완결을 이루지 못하고 소위 ‘혁신의 악몽(nightmare of innovation)’을 재 반복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대학원 과정 지원을 위한 BK21사업이 정권 교체와 무관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학부과정 지원을 위한 누리사업 역시 정권 교체와는 무관하게 진행되어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한편 1단계 사업의 경우 지역혁신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지역전략산업과의 연계성 위주로 이뤄지다 보니 대학 전체의 역량 강화에는 다소 미흡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승재 백석대 누리사업단장은 “대학의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대학 당국에 지원하되, 현재의 누리사업처럼 프로그램과 지역 연계 차원에서 사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모색과 함께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