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최정도 지방대학육성(누리사업)협의회 이사장

“지난 4년 동안 닦은 기초를 바탕으로 이제부터 성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습니다. 5년 총 1조 2천여억원이 들어가는 사업인데 그 값어치를 하려면 반드시 2단계사업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최정도 지방대학육성(누리사업)협의회 이사장은 누리사업이 2단계로 이어져야 지방 경제 활성화와 지방대 육성이라는 당초 취지가 달성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누리사업협의회는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4년 동안의 성과물 홍보에 주력하는 한편 2단계 누리사업이 지속될 수 있도록 협의회 차원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벌이고 있다.

- 누리사업이 마무리단계로 접어들었다. 지난 4년 동안의 성과라면.

“4차년도 사업이 거의 끝나간다. 지난 3차년도 보다 더 큰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3차년도는 당초 생각보다 좋은 성과들이 많이 나왔다.

신입생들의 내신등급이 향상된 것을 비롯, 교육환경의 크게 나아졌다. 내신 성적의 경우 전체적으로 1~2등급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련 학과 입학경쟁률도 2~3배 높아졌다. 교육환경에서는 실험실습 기자재 확충으로 실험실습교육이 많아졌으며 교원충원도 2004년보다 21%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률은 3년 전보다 12% 향상되는 등 가시적인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외에도 지자체 등 지역사회와 협력관계 구축, 지역에 대한 봉사활동, 대학-산업체 협력관계 구축, 인턴십·공동연구 활성화 등에서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 4차년도 사업기간동안 탈락 사업단이 생기는 등 시행착오도 겪었는데.

“1차년도에는 규정 이해부족이라든지 예산집행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드러나기도 했다. 또 일부 사업단의 경우 요건미충족 등으로 사업단 선정이 취소되거나 사업비 삭감 등의 조치를 당하기도 했다.

또 사업단 참여 학생들의 경우 군복무 등으로 결원이 생겨 차질을 빚기도 했다. 결국 이들이 복학을 하고 그 사업이 계속 이어져야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누리사업 평가 항목이 너무 많고 다양하다는 것도 문제다. △실무중심의 교육과정 개편 △동아리 지원 △벤처 창업 △현장실습 및 인턴십 △어학교육 △컴퓨터 △지자체와의 협력 △사회봉사활동 등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고 있다. 각 항목마다 일정한 성과를 내려면 한정된 재원 가지고는 어렵다. 또 중요한 부분을 정해 집중해야 하는데 항목이 많다보니 자원과 노력이 분산된다. 각 대학마다 자원을 집중할 역량을 정하도록 하고, 그 항목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2단계 사업의 지속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2단계 사업으로 이어져야하는 이유는.

“지난 4년 동안 기초를 닦은 단계였다면 앞서 말한 성과들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2단계로 이어져야 한다. 지역에 우수학생이 많이 남아야 기업들도 지방으로 온다. 누리사업이 이런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5년 동안 총 1조 2천여억원이 투입된 사업인데 그 값어치를 하려면 최소 10년 동안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

- 2단계 사업을 위해 협의회에서는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

“지난 2월초 교육부를 방문, 2단계 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 사업 명칭도 ‘지방대학특성화사업’으로 하자는 의견을 모았다.

그동안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변수가 없지 않지만 사업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협의회에서는 2단계 사업이 지속될 수 있도록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했는데 자료집 발간 등을 통해 그동안의 성과를 알리는데 주력하고 있다.”

- 2단계 사업은 어떻게 추진되었으면 하는가.

“1단계 사업의 경우 사업단이나 참여 대학이 너무 많다. 정리가 되어야할 대학들이 사업지원으로 연명한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이러다가는 나눠 먹기식 재정지원사업으로 전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업단 수를 축소할 필요가 있다. 실질적 특성화 분야만 지원하는 체계가 이뤄져야 한다. 이런 차원에서 특성화 문제는 심도 있게 연구해야 한다. 대형사업의 경우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하는데 당초 기대했던 시너지보다는 의견이 맞지 않아 사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기도 한다. 또 현재 지역봉사, 지역혁신, 지역경제 활성화 등 너무 많은 것들을 요구하는데 실제 다 맞추기 힘들다. 좀더 현실적인 방안들이 마련 돼야겠으며 교수들의 참여를 자발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