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스턴 美 입학사정관협의회 회장

올해부터 학생 선발 권한이 대학으로 넘어오면서 주요 대학마다 입학사정관제를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입학사정관제가 발달한 미국 대학 입학사정관들은 "한국 대학이 입학 불공정을 피하기 위해서는 입학사정관을 공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지난달 30일 서울 건국대에서 열린 `대학입학사정관제 정착 방안에 관한 국제 콘퍼런스`에 참석한 킴벌리 존스턴 전미입학사정관협의회(NACAC) 회장(사진ㆍ미국 메인대 입학사정관)은 "대학 지원자가 본인에 대해 당락을 결정한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있을 정도로 입시 과정에 투명성이 보장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미국에서는 불합격 통지서에 입학사정관 이름은 물론 연락처까지 표기한다. 결과에 이의가 있으면 직접 전화해 항의하라는 의미"라며 "한국에는 입학사정관이 누구인지 밝히기를 꺼리는 학교가 많은데, 다 공개하는 게 옳다"고 지적했다.

존스턴 회장에 따르면 입학사정관제가 자리 잡은 미국은 `대입전문가`로서 입학사정관이라는 전문직 자체가 정착됐다.

그는 "입시전문가들 인적사항을 모아 대학이 입학사정관ㆍ평가자를 채용할 때 열람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웹사이트가 있을 정도"라고 강조했다.

한국 대학에서 입학사정관제가 성공하기 위한 요건을 묻자 존스턴 회장은 "학교마다 특성을 살린 평가기준을 마련할 것"과 "입학사정관 트레이닝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학생 개개인 개성과 학교에서 원하는 인재상이 맞아떨어지는지를 평가하는 게 입학사정관제 핵심이라는 것.

미국은 부시 정부가 2001년 `아동낙오방지법(No Child Left)` 정책을 실시하면서 1년에 한 번씩 고등학교별 평가를 실시하게 됐다. 그러나 UC버클리는 입학생 중 `최상위 고교` 평가를 받은 학교 출신이 가장 많지만 그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최하위 고교` 출신들이다.

이에 대해 앤 디루카 UC버클리 입 학사정관은 "중간 정도 평가를 받은 학교 출신들 입학률이 가장 떨어진다"며 "결국 중요한 것은 학생 개개인 잠재력과 학업능력이지 학교 간판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