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역 초·중·고교 교육을 책임지는 교육감을 뽑는 첫 주민 직접 선거가 30일 치러진다. 1일 예비 후보자 등록을 마친 공정택 교육감을 포함해 9명의 예비 후보가 나섰다. 교육감 후보자들은 정당 추천을 받지 않는다. 본 후보 등록일은 15~16일이다. 후보자의 기호는 이름의 가나다순으로 정해 번호를 매긴다. 예비 후보자들은 서로 교육 경쟁력을 높일 적임자라며 선거운동을 벌이고 있다.

◇어떤 정책 나왔나=교육감 후보 자격은 교직·교육행정 경력 5년 이상인 사람이다. 따라서 시민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선거에서는 이명박 정부의 ▶학교 자율화 ▶수월성 교육 강화 ▶학교정보 공개 같은 교육 정책이 쟁점이 될 전망이다.

공정택 예비 후보는 정부의 교육 정책을 지지하는 반면 주경복(건국대 교수) 예비 후보는 외고·자율고 폐지를 주장할 정도로 후보 간 색깔이 다르다. 촛불집회를 계기로 미국산 쇠고기의 학교 급식 여부도 이슈다. ▶0교시 수업 ▶학원 영업 시간 제한 ▶방과 후 학교 운영 등에 대한 정책 대결도 펼쳐진다. 내년 중3을 대상으로 실시 예정인 '2010학년도 고교 선택권 확대'를 놓고도 의견이 맞서고 있다.

민주노총·전교조의 공식 '조직 후보'를 표방하고 나선 후보자가 있는가 하면 '반이명박, 반전교조'로 정체성을 잡는 후보도 있다. 백순근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는 “투표율이 낮아 대표성이 없는 사람이 당선돼 전권을 행사하면 자녀들에게 불행한 일”이라며 “일방적 조직 선거를 막으려면 유권자가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숫자로 본 선거=1인당 선거비용 한도액은 34억원이다. 서울시장 선거에 준한 기준이다. 지난해 직선제 교육감 선거를 치른 부산은 14억원 한도에 11억원을 지출한 후보가 있었다. 15억원 한도였던 경남에선 14억원을 쓴 후보도 있었다.

9명의 예비 후보자 중 몇 명이 등록할지는 불명확하다. 지난해 말 대선 때 함께 치른 시·도 교육감 선거에선 기호 2번이 모조리 당선됐다. 정당 기호 순이었던 한나라당 후보로 착각한 '묻지마 투표' 때문으로 분석된다.

서울 전역에는 2189개의 투표소가 설치되고 2만4000여 명의 투표 관리인원(투표소 도우미 포함)이 배치된다. 부산(15%)과 충남(17%) 모두 투표율이 저조했다. 서울시선관위는 투표율 30%를 목표로 잡지만 20%대에 턱걸이할 전망이다. 20%는 유권자 807만 명 중 161만 명이 투표한 것을 의미한다. 2만4000명의 관리요원이 한 명당 67표를 관리하는 셈이다. (중앙일보)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