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학습 ‘미래 교육’의 핵심…데이터로 미래 예측”
데이터 파급력 기반 교육 시스템 개발…신입생 상담부터 취업 지원까지
교수학습지원 체제 ‘ATLAS’ 구축…숨은 니즈 발견, 리스크 최소화 가능

박형주 아주대 총장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된 ‘2020 일반대 프레지던트 서밋 6차 콘퍼런스’의 첫 발제를 맡았다. 사진은 이전 서밋의 모습. (사진=한국대학신문DB) 
박형주 아주대 총장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된 ‘2020 일반대 프레지던트 서밋 6차 콘퍼런스’의 첫 발제를 맡았다. 사진은 이전 서밋의 모습. (사진=한국대학신문DB) 

[한국대학신문 허지은 기자] 미래 대학을 향한 교육 혁신의 방향으로 인공지능 도입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국내 대학 가운데 선제적으로 빅데이터 기술을 교육에 도입한 아주대의 사례가 눈길을 끈다. 아주대는 이미 데이터 기반 교수학습지원 체제와 학습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학생 맞춤형 교육을 실행하고 있다.

‘2020 일반대 프레지던트 서밋(이하 서밋) 6차 콘퍼런스’의 첫 발제를 맡은 박형주 아주대 총장은 AI 기반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 사례로 아주대의 데이터 기반 교육 시스템 도입과 실행에 대해 설명했다. 본지가 주최·주관한 이번 서밋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비대면·서면 방식으로 진행됐다. 

아주대의 사례가 대학가의 관심을 끄는 것은 교육환경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 소비자의 특성이 변하고 있으며, 교육 트렌드도 비대면 수업으로 중심축을 옮기면서 대학교육 역시 변화를 요구받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아주대의 교육혁신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데이터 기반 맞춤형 교육'으로 표현할 수 있다. 데이터의 파급력에 주목한 교육 시스템을 갖췄다는 점에서다. 박 총장은 “데이터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 숨은 니즈를 발견하며, 리스크를 줄일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생의 특성을 분석하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 결과는 교육 의사결정권자에게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는 게 박 총장의 설명이다.

아주대의 데이터 기반 맞춤형 교육을 잘 설명하는 대표적인 사례는 데이터 기반 교수학습지원 체제인 ‘ATLAS’다. 아주대는 학생의 학습성과 향상과 교육 시스템 개선을 위해 학습자와 학습 환경에 대한 모든 정보를 수집해 목적에 따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최적의 학습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시스템 ATLAS를 구축했다. 학생과 학습환경에 대한 데이터는 학생들의 학습성과 개선을 위한 정보는 물론 학사운영, 교수자의 수업 질 관리 등에 모두 활용된다.

이를 위해 아주대는 교수학습지원센터 내에 학습분석 전담 인력을 배치하고, 데이터 분석 조직을 꾸렸다. 학습분석 내용을 시각화 해 전달할 수 있는 차세대 LMS를 구축했으며, 데이터를 수집해 저장하는 데이터마트도 구축했다.

현재 아주대는 ATLAS를 △신입생 상담 강화 △수업평가문항 개선 △학사제도 개선 △비교과 프로그램 신설 및 강화 △취업현황 분석 △취업지원 등에 적용한 상태다.

그 연장선에 있는 아주대의 데이터 기반 맞춤형 학습 환경 ‘PASS’도 주목할 만한 사례다. PASS를 통해 아주대는 개별 학생들의 사전지식 수준을 정확히 진단하고, 학생과 교수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아주대는 최근 PASS의 범위를 확대했다. 수학·기초과학 교과 위주로 적용하던 것에서 전공과목에서도 적용할 수 있게 활용폭을 넓혔다. 정규교과에 적용된 PASS는 학생의 수준을 진단하고, 성과를 예측해 학습관리시스템이 맞춤형으로 사전학습과 교수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토대로 교실 수업 내에서 개별화 수업을 실시할 수 있다. 교실수업 후 이뤄지는 사후 진단 평가를 통해 수업진도와 연계한 복습활동도 지도한다.

비교과 수업에서도 PASS는 활용된다. 입학 전부터 학습 분석 시스템을 통해 중재가 필요한 학생 그룹을 선정하고, 맞춤형 처방 프로그램을 구성해 매치하는 방식이다. 실제 아주대는 올해 2학기 학업 성취가 낮은 학생을 선별해 확률과 통계 기초 과목을 수강하도록 한 바 있다.

앞으로 아주대는 PASS의 적용 범위를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영어와 수학, 화학, 물리, 통계, 컴퓨터 프로그래밍, 경영계열, 공학계열 전공 등으로 PASS가 도입 과목이 늘어날 예정이다.적용 대상은 더욱 세분화한다. 신입생, 재학생, 관심그룹으로 나누고, 관심그룹 안에서도 진단평가 저성취, 재외국민, 졸업유예 등을 구분할 예정이다.

박 총장은 이같은 데이터 기반 교육시스템을 통해 수요자 맞춤 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총장은 “데이터 기반 학습 관리 시스템으로 신입생의 기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부진 학생이나 학사경고자를 줄일 수 있다. 학습자 수준에 따른 맞춤형 교수학습이 가능하며, 이를 더 강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