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콘퍼런스 ‘대학의 패러다임 시프트’를 주제로 진행
4·5차 콘퍼런스에서는 각 당 대선후보의 교육 공약 청취

왼쪽부터 김도연 울산공업학원 이사장, 반상진 전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사진=한명섭 기자)
왼쪽부터 김도연 울산공업학원 이사장, 반상진 전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사진=한명섭 기자)

[한국대학신문 이지희 기자] ‘대학의 위기,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 대선후보에게 듣는다’는 대주제로 이어지는 본지 프레지던트 서밋 3차 콘퍼런스가 28일 웨비나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지금이 대학 교육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에 의견을 같이 했다. 이와 함께 여기에 수반되는 정책을 정부의 재정적 지원으로 꼽으면서 현 고등교육의 열악한 재정 상황을 다시 한 번 조명했다.

3차 콘퍼런스는 김도연 울산공업학원 이사장과 반상진 전 한국교육개발원 원장의 발제로 막을 올렸다. 김도연 이사장은 ‘고등교육 패러다임 시프트’를 주제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고등교육에 획기적인 인식의 전환을 촉구했다.

김도연 이사장은 “지금까지 가지고 있던 교육관이나 방법론을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며 “교수중심의 분절되고 지식전달에 국한됐던 교육을 학생 중심의 통합적이고 지혜와 경험을 심어주는 교육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혁신 교육의 대표적인 사례인 미네르바 대학이 비교 대상이 됐다. 대부분의 강의가 온라인으로 이뤄지지만 학생들의 참여는 기존 대학의 유형을 가뿐하게 뛰어넘는다.

인식의 전환을 위한 선제 조건으로는 정부의 재정적 지원과 장기적인 리더십을 꼽았다. 이러한 전제 조건이 없다면 대학의 혁신은 어렵다는 진단이다. 발전기금이 60조 원을 넘는 하버드 대학과 7000억 원에 그치는 서울대의 교육은 질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김 이사장은 “정부가 고등교육은 버렸다는 생각이 들 정도”라며 각종 규제의 완화도 함께 주문했다.

‘차기 정부 고등교육 정책 방향’을 주제로 강의에 나선 반상진 전 원장은 한국 고등교육의 고질적인 재정 문제를 지적했다. “고등교육 대전환의 선결과제는 재정 지원의 대전환”이라고 강조한 점에서 김 전 장관과도 궤를 같이 했다. 오랜 시간 등록금을 동결해 온 주체인 정부인만큼 고등교육 예산 규모를 확대하는데 정부의 역할을 다시 한 번 강조한 것이다.

반 전 원장은 “대학 재정난으로 모두가 힘든 이유는 정부가 충분한 재정 지원을 하지 않기 때문”이라면서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과 대학균형발전을위한특별법 제정을 구체적인 방안으로 꼽았다.

또한 대학 혁신의 대전환을 위해 ‘공유성장형 대학연합체제’ 모델도 제시했다. 대학 간 물적·인적 자원을 공유하며 교육과 연구 부문에서 연계와 협력하는 모델이다. 대학의 개별적인 경쟁이 아닌 대학체제 전반의 경쟁력을 끌어올리자는 취지다. 반 원장은 대학 간 연합체계를 단계적으로 발전시키면 현재의 양극화와 학벌주의도 타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홍준 본지 대표이사 겸 발행인은 “정부 대책이 우리나라 대학이 생기던 1950년대에 머물러 있다. 내년 대선주자의 정책에 대학의 고민을 반영할 수 있도록 논의하겠다”면서 콘퍼런스를 마무리했다.

이어지는 4·5차 콘퍼런스는 본격적으로 내년 대선 후보의 교육 공약을 청취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음 달 11일 개최될 4차 콘퍼런스에는 여당 대선후보 및 캠프 교육정책 위원장, 여당 선거대책위 고등교육 전문가 등이 자리할 예정이다. 콘퍼런스는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의 고등교육 정책 공약발표’와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의 간담회’ 등의 주제로 진행된다. 주제 발표 후에는 질의응답과 자유토론이 예정돼 있다. 4·5차 콘퍼런스는 웨비나를 통해 진행되며 본지 유튜브 채널에서도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