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기원 9000년 전 중국 동북부 요하 농경민에서 비롯됐다는 ‘농경민 가설’ 제시

김재현 교수
김재현 교수

[한국대학신문 이원지 기자] 김재현 동아대학교(총장 이해우) 고고미술사학과 교수가 ‘한국어 기원이 9000년 전 중국 동북부 요하의 농경민에서 비롯됐다’는 네이처 연구논문의 공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네이처 출판그룹(Nature Publishing Group)이 발행하는 주간지 <네이처>는 1869년 영국에서 창간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과학 잡지로 미국의 <사이언스(Science)>와 함께 과학저널의 양대 산맥을 이룬다. 네이처 게재 논문의 80% 이상이 생명과학 분야로 인문학자가 공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것은 드문 일이다.

이번 연구엔 마르티너 로베이츠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과학연구소 고고학부 교수 연구팀과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미국 등 연구진이 대거 참여했다.

공동연구팀은 이번 논문에서 ‘한국어 몽골어 일본어 등 ‘뿌리 언어’로 여겨지는 ‘트랜스유라시아어족(알타이어족)’ 기원이 약 9000년 전 중국 동북부 요하(遼河·랴오허) 일대 농업 지역이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이는 약 4000년 전 중앙아시아 유목민이 이주하면서 언어가 퍼져나갔다는 기존 ‘유목민 가설’을 뒤집은 것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트랜스유라시아어족은 한국과 일본, 시베리아를 거쳐 터키에 이르기까지 유라시아대륙을 가로질러 광범위하게 분포하는데 주어-목적어-서술어 어순, 모음조화, 문법상 성별 구분이 없는 등 공통점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또 255개 유적지에서 발굴된 작물의 탄소 연대 측정 결과를 분석해보니 약 9000년 전 요하 일대 기장 농업 한 분류가 5500년 전 한반도 방향으로 퍼져나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9500∼300년 전 한국·일본·아무르강 유역에 살았던 19명의 유전체와 유라시아·동아시아 현대인 194명의 유전체를 분석ㆍ비교해 트랜스유라시아어를 사용하는 사람에게서 공통적인 유전적 요소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농경문화와 함께 언어의 확산과 분리가 일어났다는 ‘농경민 가설’을 이번에 처음 제시한 것이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가덕도 등에서 나온 고대인 DNA를 분석해 중기 신석기시대 한국인 조상의 유전자가 일본 토착민인 조몬인(繩文人)과 95% 일치한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한 것도 큰 성과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