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9월부터 내년 2월까지 한시적으로 전문대 졸업(예정)자 1인당 70만 원 교육비 지원
대학가 "지원도 좋지만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지원으로 이어져야"
전문가 "너무 늦게 시작" "수업 보조 인력 인건비 지원 필요"

2년 넘게 이어진 코로나19로 전문대 학생들의 실험실습 수업에 난항을 겪으면서 교육부가 한시적 취업역량 강화 지원 사업을 내놨다.
2년 넘게 이어진 코로나19로 전문대 학생들의 실험실습 수업에 난항을 겪으면서 교육부가 한시적 취업역량 강화 지원 사업을 내놨다.

[한국대학신문 장혜승 기자] 지난해 코로나19 대유행 때 입학한 전문대 ‘코로나 학번’들의 실습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며 교육부가 대책을 내놨지만 미봉책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교육부는 지난해 8월부터 내년 2월까지 한시적으로 전문대학 졸업(예정)자의 취업역량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전문대학생 취업역량강화 한시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국가공인 자격 취득이나 어학검정수수료, 각종 취업역량강화 교육과정 이수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학생 1인당 70만 원씩 전문대교협에서 지원한다.

현장에서는 지원을 해준다는 자체만으로도 좋지만 2년제의 경우 전문대 학생들이 이미 졸업이 코앞이라는 점에서 시기상으로 늦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2월까지 기간이 정해진 만큼 안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교육부의 '한시적 취업역량 강화 지원사업' 이미지. (전문대교협 홈페이지 캡쳐)
교육부의 '한시적 취업역량 강화 지원사업' 이미지. (전문대교협 홈페이지 캡쳐)

■교육부, 전문대 졸업예정자 교육비 내년 2월까지 한시 지원… 부족한 실험 실습 메꾸기 위한 조치 = 교육부는 ‘코로나19 상황 속 전문대학생 취업역량 강화 한시 지원 사업’ 기본계획을 지난 8월 발표했다. 코로나19 확산이 장기화하면서 취업 준비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전문대학생에게 교육비를 지원해 취업 역량을 강화하는 내용이 골자다. 2년 넘게 이어진 코로나19로 전문대 학생들의 실습 수업이 어려워진 데 따른 조치다.

‘코로나19 상황 속 전문대학생 취업역량 강화 한시 지원 사업’은 전문대학생을 위해 올해 정부가 새로이 내놓은 사업 중 하나로 내년 2월까지만 한시적으로 학생들의 취업 관련 교육비를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올해 전문대 졸업자 중 미취업자와 2022년 졸업예정자를 포함해 약 3만 명이다. 국가공인 자격 취득과 민간 어학검정 수수료, 각종 교육프로그램 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1인당 70만 원까지 지원한다. 대학별 지원 인원은 재학생 규모 등에 따라 배정한다. 개별 대학이 배정된 인원 범위 안에서 경제적 수준을 우선 고려해 자체 기준을 수립한 후 선발한다.

대학이나 평생직업교육학원 등 참여를 원하는 교육기관이 전문대교협에 교육과정 등록을 신청하면 전문대교협이 내부 전문가 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등록기관과 교육과정을 최종 선정한다. 교육을 받으려는 학생은 전문대교협에서 구축한 온라인 관리시스템에 탑재된 교육기관과 교육과정에 한해 교육을 신청할 수 있다. 교육수강료는 교육을 80% 이상 이수한 학생에 대해 교육기관이 전문대교협에 수강료를 청구하면 교육기관에 지급하는 방식이다.

교육부가 이 같은 정책을 내놓은 데에는 코로나19로 전문대 학생들의 실습 수업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에 따르면 대면 방식의 이론수업은 10월 19.6%(8552개 강좌)에서 11월 24.6%(1만 638개)로 늘었으며 대면 실험·실습 수업은 10월 38.4%(1만 5652개)에서 47.7%(1만 8809개)로 증가했다. 이론과 실습을 같이 하는 수업에서도 대면이 10월 21.3%(6730개)에서 36.2%(1만 1543개)으로 확대됐다. 실험·실습 수업은 대면이 늘어났지만 2년 동안 부족했던 실습을 채우기는 부족한 상황이다. 현장실습 이수로 눈을 돌려보면 더욱 암담하다. 전문대교협에 따르면 작년 사립전문대 전체 학생 43만 5056명 중 5.9%만이 4주 현장실습을 이수했다. 2018년 13.2%, 2019년 10.4% 대비 급감한 수치로 전년 대비 절반 가까이 줄어든 셈이다. 

■대학가 “한시지원보다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지원 시급” = 현장에서는 강사료 등 교육과정 운영에 드는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보면서도 장기적이고 꾸준한 지원을 바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국제대 산학취업처 관계자는 지난 1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7개 학과에서 자격증 과정을 이번 2학기부터 개설해 운영하고 있는데 단기 과정인 만큼 이번 지원사업으로 강사료 등 운영 비용을 충당할 수 있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내년 2월에 지원이 끝나는데 더 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송곡대 산학취업처 관계자도 본지와의 통화에서 “한시지원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학교에 대한 지원으로 이어져야 하는데 단순히 일회성에 그쳐서 아쉽다”고 토로했다. 교육과정에 대해서도 단기 교육과정으로 끝나 학습 효과 측면에서 아쉽다는 말도 덧붙였다.

졸업(예정)자로 지원 대상을 한정짓지 말고 재학생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정숙 전문대 교수학습발전협의회 회장(대전보건대 교수)은 지난 3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한시적 사업이라고 해도 졸업(예정)자가 아닌 재학생들은 혜택을 받지 못해 아쉽다”며 “재학생으로 영역을 확대하면 좋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달 15일 전국 전문대에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비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육성사업비 등을 활용해 겨울 계절학기나 겨울 방학 기간 동안 실험실습수업을 하면서 전문대 재학생들의 취업역량을 강화해줄 것을 독려했다. 역량진단에 탈락한 대학들은 해당되지 않아 박탈감을 부추긴다는 목소리도 있다. 김 교수는 이에 대해 “역량진단 선정된 대학들은 재학생들 지원도 받을 수 있고 한시 지원 사업 혜택도 받을 수 있는데 탈락 대학들은 한시지원만 신청할 수 있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는 의견도 있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이상우 교육부 전문대지원과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역량진단 탈락 대학들에 대해서는 안타깝지만 그 부분은 한시지원사업으로 지원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2년제 학생은 졸업이 코앞인데 너무 늦어”… “수업 보조 인력 인건비 지원도 대안” =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2년제 학생의 경우 졸업이 코앞인데 지금 자격증 취득을 지원하는 건 너무 늦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수업 보조 인력 채용에 대한 인건비를 지원해달라는 의견도 제시됐다.

강문상 전문대교협 부설 고등직업교육연구소장은 지난 3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학생 입장에서 제일 큰 문제는 늦었다는 점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 소장은 “사업이 시작된 시점인 2학기는 학생들이 진로를 이미 결정한 때인데 이 시기에 자격증을 딴다고 학원을 다니진 않는다”며 “1학기에 했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1학기에 일찌감치 사업을 시작했다면 학생들이 취업을 1년 앞두고 학습 계획을 수립할 수 있어 더 도움이 됐을 것이라는 뜻이다. 

실험실습 수업 지원 인력 인건비도 현실적 대안으로 제시된다. 김정숙 교수는 “교원이나 조교가 많지 않은 전문대 특성상 전공심화과정 재학생 중 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학생들을 실습 수업 보조 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이야기도 많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현장중심교육을 하는 전문대는 실습도 많고 소규모로 분반해서 하다 보니 투입되는 조교가 없는 상황”이라며 “산업체 경력이 없는 전공심화과정 재학생이 후배 실습을 도와주면 교수도 수월하고 실습 수업 공백도 메워지고 일자리 구하기 힘든 요즘 같은 때 일석이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