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전환’ 등 교육 분야 전반의 체질 개선 요청
고등교육 체질 개선 위한 주요 정책안 발표

교육 분야 관계자 3만 1702명이 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는 선언을 발표했다. (사진=오지희 기자)
교육 분야 관계자 3만 1702명이 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는 선언을 발표했다. (사진=오지희 기자)

[한국대학신문 허지은 기자] 교육계 인사 3만여 명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이들은 차기 대통령을 향해 ‘교육대전환’을 이뤄줄 것을 요청했다.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이틀 앞둔 7일, 교육 분야 관계자 3만 1702명이 국회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는 선언을 발표했다.

이날 지지 선언자 명단에는 △대학상생혁신포럼 101개 대학 교수 300명 △교양교육 인문학 연구자 131명 △대덕연구단지 연구원 및 충청권 교수 515명 △경북 지역 퇴직 교원 146명 △광주 퇴직교사 166명 △민주화운동 관련 해직교사 431명 △경남 전교조 해직교사 100명 △지역아동센터 연합회 1만 명 △고양시 학부모 300명 △2030 청년 123명 △대전 시민사회 568명 △한국전문상담사협회 118명 등이 이름을 올렸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홍 더불어민주당 교육대전환위원회 위원장, 안승문 더불어민주당 교육대전환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 반상진 교육대전환위원회 상임집행위원장‧부위원장(전북대 교수)과 서울‧경기‧강원‧세종‧대전‧충남‧인천‧대구 등 교육대전환위원회 지역 조직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선언인들은 차기 대통령에게 ‘교육대통령’으로서 교육 분야 전반의 체질 개선을 이뤄줄 것을 요청하고, 이재명 후보가 그 역할을 다해 주길 바란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들은 “다음 대통령은 교육대전환을 성공시키는 대통령이 돼야 한다”며 “이재명 후보가 성공한 교육대통령이 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제 교육 때문에 고통받는 나라를 더 이상 이대로 두어선 안 된다. 학생은 물론 학부모들까지 교육이라는 질곡에서 고통 받는 현실을 끝내야 한다”며 “국민 누구나 배우고 성장하며 행복을 누릴 수 있는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 이것이 교육대전환이 필요한 이유”라고 주장했다.

‘교육대전환’을 위한 주문으로는 “영유아 보육과 교육, 초중등 교육은 물론 대학교육과 평생교육에 이르기까지 교육체제 전반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전했다.

지지 선언 이후에는 반상진 상임집행위원장을 통해 더불어민주당 교육대전환위원회가 이재명 후보에게 제안한 고등교육 체질개선을 위한 주요 정책안도 발표됐다.

이들의 고등교육 정책 제안 내용은 △경제규모 세계 10위권 수준에 걸맞은 파격적 수준의 고등교육 재정 확대로 지방 사립대에 대한 서울 유수 대학 수준의 재정 지원 △대학 서열화 이슈 대응 상설 기구(가칭 대학서열화해소위원회) 설치 △지자체-산업체-대학 간 상시적인 동반성장형 지역대학 혁신체제 구축 △한국형 대학 연합 공유 체제 조성 △연구‧교육‧산업‧경제‧주거‧생태환경을 포함한‧대학도시 구축 및 활성화 △대학 등록금 부담 완화를 위한 청년 재정 지원 확대 △국민 전체 역량 강화를 위한 평생학습 시민대학 강화 등을 전했다.

반 상임집행위원장은 “대학 체제 대전환은 교육 공약 중 가장 중요한 의제다. 모든 문제의 블랙홀은 대학 서열주의에 있다. 대학 서열구조 혁파를 위한 공격적 공약을 개발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이와 같은 정책을 제안했다”며 “차기 정부가 교육 대전환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교육대전환위원회는 이재명 후보의 교육 공약이 이례적으로 민간과 시민, 정당이 함께 개발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하며 공약의 진정성을 강조했다. 안승문 공동집행위원장은 “지난 몇 달 간 걸어온 길은 ‘가지 않았던 길’이었다. 더불어민주당과 시민사회, 시민운동가, 민간의 현장 전문가 등이 교육대전환이라는 시대 전환적 의제를 이루기 위해 모였다”며 “우리나라 대선 역사, 정치사에서 민간, 시민 정당이 결합해 정책을 개발한 사례는 매우 드물다”고 설명했다.

유기홍 위원장은 “대선캠프나 공약을 개발하는 위원회의 활동 대부분은 교육공약, 정책을 만든 뒤 관련 몇몇 단체들과 협약을 맺는 것이었다. 매번 대선 때마다 교육 분야 공약을 책임져왔지만 그랬다. 이번에는 17개 시‧도는 물론 시‧군‧구 단위까지 위원회 조직을 만들었고, 이들을 중심으로 해 교육 분야 유세단이 활동을 하는 새로운 역사를 썼다”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