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열 직능원 평생직업교육연구본부장, 교수 설문 결과
‘마이스터대’ ‘산업대 승격’ 전문대 지원 중요과제로 꼽혀
학사 개선 위해 ‘유학생’ ‘고교생·청소년’ 과정 확대 주문

[한국대학신문 김의진 기자] 10년 이상 전문대에서 근무한 전·현직 교수 10명 중 6명이 전문대에 마이스터대를 전면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스터대는 전문기술석사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이다. 교육부는 올해 전문대를 대상으로 시범운영하고 내년에 일반대까지 확대, 마이스터대를 본격 도입한다.

18일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에 따르면 박동열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평생직업교육연구본부장이 10년 이상 전문대에서 근무한 전·현직 교수 52명에게 전문대 체제 개편 과제를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해당 조사는 전문대교협 부설 고등직업교육연구소의 ‘평생직업교육 시대에 전문대 역할과 고등직업교육 체제 구축 방안 연구’를 위해 이뤄졌다.

■ ‘마이스터대’ ‘산업대 승격’ 전문대 지원 위해 필수적 인식 = 전문대 근무 경험이 있는 교수 중 마이스터대 전면 도입·운영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63.5%에 달했다. 마이스터대는 지난해 교육부 인가를 받아 올해부터 직업교육 분야 석사과정인 전문기술석사과정을 운영하는 전문대를 의미한다. 동양미래대·대림대 등 8개 전문대에서 13개 교육과정이 인가를 받아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박 본부장은 연구에서 “교수들은 마이스터대 도입에 대해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전문대 체제 개편 과제의 중요성·실현 가능성을 판단할 때 마이스터대 전면 도입을 높은 우선순위에 놓고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가 사립 전문대를 공영화하는 것을 중요한 과제로 꼽은 비율도 60%를 넘겼다(61.5%). 사립 전문대의 공영화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 2017년 정권 초부터 ‘공영형 전문대’를 포함한 공영형 사립대 육성을 국정과제에 포함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5년간 정책연구만 반복했고 구체적인 정책은 추진되지 않는 상황이다.

전문대를 산업대학(4년제)으로 승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응답자도 절반을 넘는 59.7%로 많았다. 수도권 한 전문대 관계자는 “요즘은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으로 학업을 이어갈 수 있지만, 학위를 취득해도 출신대학에는 초대졸이라고 적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며 “전문대를 4년제 산업대로 승격하면 한계점은 개선하고, 우수한 실무교육과 높은 취업률이라는 장점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본부장은 연구에서 “과제별 중요성을 물었을 때는 산업대 승격이 5점 만점에 3.85점으로 가장 높았다”며 “국가 책임 공영형 사립 전문대 전환은 3.79점, 마이스터대 전면 도입은 3.77점으로 중요성을 높게 인식했다”고 했다. 이어 “마이스터대 전면 도입과 산업대 승격은 특히 실현가능성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 유학생·고교생·청소년 과정 확대 주문 목소리 높아 = 전문대 학사 제도를 운영하는 데 개선돼야 할 과제에 대해서 전·현직 전문대 교수들은 ‘외국인 근로자를 포함한 해외 유학생 대상 학위·비학위 과정 운영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우리나라 외국인 유학생 총 15만 명 중 전문대에서 공부하는 유학생은 1만2070명(7.9%)이다. 이 가운데 학위과정 유학생은 6760명(56.1%), 어학연수생은 5310명(43.9%)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8년 전문대 유학생은 모두 9266명이었으며 이 중 학위과정 유학생 3706명, 어학연수생 5560명이었다.

김홍길 경남정보대 호텔관광과 교수는 “전문대에 직업교육 맞춤형 유학생을 유치하기 위한 대응 전략이 마련돼야 한다”며 “전문대를 졸업한 유학생들이 각 지역의 산업과 연계해 정주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전·현직 전문대 교수들은 전문대와 한국폴리텍대 간 공동캠퍼스 운영에 대해 중요하지 않다고 봤다. 해당 연구에서 ‘전문대-폴리텍대학 간 공동캠퍼스 운영’ 과제의 중요성을 묻는 질문에 10명 중 3명꼴인 32.7%만이 중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연구에서 “전문대-폴리텍대 관련 과제의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인식하는 것이 결과에 영향을 줬을 수 있다”며 “이를 제외한 모든 과제는 실현 가능성과 중요성 모두 높게 인식한다는 결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전·현직 전문대 교수들은 전문대 학사제도 혁신 과제와 관련 ‘일반고, 학교 밖 청년 대상 위탁과정 운영 확대’(67.3%), ‘직업계고 학점제와 연계된 단기 직무과정 개설’(63.5%) 등도 주요 현안으로 꼽았다.

■ 전 생애 직업교육 체제 구축…전문대 내실화 필요 = 박 본부장은 연구에서 “인공지능(AI)·기계가 일자리를 대체하는 상황에서 전 생애 직업교육훈련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며 “전문대가 사회안전망으로서 평생학습을 제공할 수 있도록 체제 개편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990년대 후반부터 학벌주의 병폐를 해소하기 위해 직업교육을 위한 정책들을 추진했다. 하지만 박 본부장은 “해당 정책들은 가시적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며 “앞으로의 정책은 역량에 기반해 일-학습-자격-삶이 연계된 평생직업교육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향으로 설계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본부장은 전문대를 일반대와 차별화한 직무 중심 교육기관으로 개편하고, 특히 마이스터대(전문기술석사과정)가 전문대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수업 연한의 변화를 통한 학제 개편과 함께 가칭 ‘직업교육법’을 제정해 직업교육 혁신·육성의 법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