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학 위기 극복 위해 올해 국비 2440억 등 사업비 3485억 원 투입
예산성 사업에 불만도…“추경 편성해서라도 사업지역 확대해달라”

[한국대학신문 이지희 기자] 올해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지역혁신플랫폼) 예비 선정결과가 발표됐다. 아직 사업에 선정되지 않았던 전 지역에서 모두 사업에 지원한 가운데 단일형에 강원 플랫폼, 복수형에 대구·경북 플랫폼이 선정됐다. 신청했지만 미선정된 지역은 부산, 전북, 제주 지역이다.

지역혁신플랫폼은 학령인구 감소, 지역인재 수도권 유출 등으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자체와 대학이 협업체계를 구축해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발전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2년 6개 플랫폼을 지원하는 예산에는 국비 2440억 원과 지방비 1045억 원을 더해 약 3485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예산 사업이다.

신규 선정된 2개 지역 중 단일형의 강원 플랫폼은 지역 내 15개 대학, 60개 지역혁신기관이 참여해 △정밀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 수소에너지를 핵심분야로 선정했다. 강원 플랫폼은 춘천의 바이오 클러스터, 원주의 디지털 헬스케어 클러스터, 강릉·동해·삼척의 액화수소 실증 클러스터 등 규제자유특구와 연계해 지역의 미래혁신산업 육성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한다는 계획을 내세웠다.

특히 데이터 기반 역량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해 초개인화 학습기록시스템(LRS), 인공지능(AI) 사전탐색 진단 취·창업 지역정주 내비게이션을 기반으로 온·오프라인 운영이 결합된 ‘강원 LRS 공유대학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여기에 고교학점제 연계과정, 채용연계 마이크로계약학과 트랙, 애자일 랩 등 초·중등부터 재직자 단계까지 인재유형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복수형의 대구·경북 지역혁신플랫폼은 지난해 대전·세종·충남 플랫폼과 경합을 벌여 고배를 마셨지만 올해 지역혁신플랫폼 사업에 도전해 신규 선정됐다. 권역 내 23개 대학 214개 지역혁신기관이 참여해 현재까지 플랫폼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지역 주력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고도화를 위해 △전자정보기기 △미래차전환부품을 핵심분야로 선정했다.

대구·경북 플랫폼은 2개 융합전공에 전공별 5개 트랙을 갖추고 트랙 간 특화와 경쟁을 통해 발전해나가는 ‘DGM 공유대학’을 구축해 추진할 예정이다. 트랙별 총 24개 과목으로 구성해 산업계의 요구 역량과 학생 유형에 따라 △혁신인재 △융합인재 △실무인재로 구분해 운영한다.

기업집적지나 주민 접근성이 우수한 곳에 현장·공유캠퍼스를 조성해 대학과 기업, 지역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대학 간 거리가 먼 권역적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 확장 가상공간 등을 활용한 캠퍼스를 구축해 대학교육혁신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지역 주력산업의 기업혁신·산업전환 과정에서 기술과 자본이 부족한 지역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학-기업-지역혁신기관이 힘을 모아 애로기술 개발, 제품개선 등도 지원한다.

■ 지역 혁신기업 취업, 유망 분야 융합전공 구축 등 성과 보여 = 지역혁신플랫폼은 현재 학령인구 감소, 인재 유출 등으로 인재 부족에 시달리는 지역 대학들이 가장 사활을 걸고 있는 사업이다. 플랫폼에 대규모 국비를 지원하는데도 지역 대학과 기업, 기관이 협력해 일종의 공유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개별 대학이 아닌 지역 전체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공모에서 탈락했던 한 대학 관계자는 “지역에서는 수도권으로 학생들이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아 (지역혁신플랫폼을 통해) 인재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고 산업 발전을 이룰 수 있다”면서 “예산이 기업과 대학에 많이 들어오기 때문에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그중에서도 USG 모델로 혁신적인 공유 사례를 만들어낸 울산·경남 플랫폼이 주목을 받았다. 당초 경남 지역 대학과 기업, 기관이 협업하던 USG 모델에 울산 지역으로 확대되면서 핵심 분야는 3개에서 5개, 혁신기관은 46개에서 62개, 인력양성 규모는 500명에서 800명 등으로 대폭 확대됐다.

무엇보다 핵심분야 기업에서 인턴십을 진행하면서 실제 취업으로 이어지는 가시적인 성과도 보였다. 1기 LG전자 채용연계형 인턴십에 참여한 80명의 학생 중 총 12명의 최종 합격자를 배출했다.

광주·전남 플랫폼은 전남대를 주축으로 에너지 분야 융복합교육시스템을 구축해 ‘미래에너지 융합 전공’을 개설했다. 한전 에너지밸리 기업개발원과 함께 2개 전문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타 대학에도 개방했다. 지난해 9월까지 171명이 해당 과정을 수료했으며 수료자의 교육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문제는 예산성 사업…전 지역 확대 원하는 대학들 =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매해 예산을 따내 지원하는 사업이다보니 모든 지역과 대학에 기회가 가지 않는다. 올해만 해도 플랫폼에 선정되지 않은 모든 지역이 사업에 지원했지만 부산, 전북, 제주 지역은 미선정됐다.

2020년 사업 시행 후 현재까지 플랫폼이 구성된 곳은 광주·전남 플랫폼, 울산·경남 플랫폼, 충북 플랫폼, 대전·세종·충남 플랫폼을 비롯해 올해 신규 선정된 강원 플랫폼과 대구·경북 플랫폼이다.

지난해 7월 열린 대교협 하계세미나에서도 위기에 처한 지역 대학을 위해 지역혁신플랫폼 사업을 좀 더 시급하게 확대해달라는 요청이 줄을 이었다. 최병욱 한밭대 총장은 “장기적인 계획은 모든 지역에 사업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했지만 속도가 느려 우려된다”면서 “(2022년에는) 전국 모든 지역이 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예산확보와 정책 실현을 해달라”고 건의했다.

이에 정종철 차관은 “대학과 지역에 위치한 연구소, 기업체, 중등교육까지 아울러 대학 혁신생태계를 거점으로 지역이 다시 부활할 필요가 있다”고 공감하면서도 “재정 당국이 교육부보다 미온적이라고 느껴져 순차적으로 준비된 곳부터 사업을 해야 한다는 점을 양해 바란다”고 재정적 지원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올해 사업에 선정되지 않은 대학은 또 다시 내년을 기약해야 될 것으로 보인다. 전북 지역 대학 관계자는 “이 사업 자체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보지만 어느 지역이든 모두가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올해 6개 대학이 선정되고 3개 권역은 내년 사업까지 남게 되는데 추가경정예산이라도 투입해 사업지역을 확대해야 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나 노력해주길 바랄 뿐이다”고 밝혔다.

이에 교육부 관계자는 “매년 예산을 따내야 하는 예산 사업이긴 하지만 예산을 최대한 확보해 전 지역에 지역혁신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것이 교육부의 기본적인 입장이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