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구 교수 연구팀, 전기 자동차‧드론‧스마트 전자기기 등 미래 에너지 저장 장치 시장 선도 기대

고분자 수지 배향 변화를 통해 형성된 다공성 탄소 중공 구조체 기반의 양극, 음극 재료의 합성과정 모식도 (사진=KAIST 제공)
고분자 수지 배향 변화를 통해 형성된 다공성 탄소 중공 구조체 기반의 양극, 음극 재료의 합성과정 모식도 (사진=KAIST 제공)

[한국대학신문 조영은 기자] 강정구 KAIST(총장 이광형)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우수한 성능의 급속 충전이 가능한 고에너지·고출력 하이브리드 리튬 이온 전지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고분자 수지 배향의 변화를 통해 넓은 표면적의 다공성 탄소 중공 구조체를 합성했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음극‧양극 소재를 개발해 고성능 하이브리드 리튬 이온 전지를 구현했다.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는 대표적인 상용화 에너지 저장 장치로 스마트 전자기기부터 전기 자동차까지 전반적인 전자 산업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어 ‘제2의 반도체’로 불린다. 그러나 느린 전기화학적 반응 속도, 전극 재료의 한정 등의 특성에 의한 낮은 출력 밀도, 긴 충전 시간, 음극 ‧양극 비대칭성에 따른 큰 부피 등의 근본적인 한계로 인해 고성능 전극 재료‧차세대 에너지 저장 소자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활발하게 연구 중인 하이브리드 전지는 배터리용 음극과 축전기용 양극을 결합해 높은 저장 용량과 빠른 충·방전 속도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기에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고에너지‧고출력 밀도의 하이브리드 전지를 구현하기 위해서 배터리용 음극의 전기 전도성‧이온 확산 속도 개선, 축전기용 양극의 에너지 저장 용량 증가, 서로 다른 이온 저장 메커니즘에 따른 두 전극의 최적화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강 교수 연구팀은 고분자 수지의 배향 변화를 통해 넓은 표면적을 가진 다공성 탄소 구조체를 합성할 수 있는 새로운 합성법을 제시했고 이를 기반으로 음극‧양극 소재를 개발해 고에너지‧고출력의 하이브리드 리튬이온 에너지 저장 장치를 성공적으로 구현했다.

연구팀은 개발된 음극과 양극을 완전셀로 구성해 고성능 하이브리드 리튬 이온 전지를 구현했다. 이 하이브리드 리튬 이온 전지는 기존 상용화된 리튬이온 배터리에 필적하는 에너지 밀도와 축전기의 출력 밀도 특성을 모두 가지는 것을 확인했으며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로 수 초에서 수 분의 급속 충전으로도 활용 가능해 전기 자동차, 드론, 스마트 전자기기 등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KAIST 신소재공학과 김기환 박사과정이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의 국제 저명학술지 <ACS 나노>에 이달 4일 자로 게재됐다. 논문명은 ‘Coiled Conformation Hollow Carbon Nanosphere Cathode and Anode for High-Energy Density and Ultrafast Chargeable Hybrid Energy Storage’이다.

강 교수는 “전극기준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 (285 Wh/kg)를 가지며 고출력 밀도(2만2600W/kg)에 의한 급속 충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리튬 이온 전지는 현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다”며 “전기 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전자기기의 활용 범위를 확대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의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