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 조사 결과 발표…전년 55.4% 대비 2.4%p↑
미취업자 수‧비율 모두 감소…6‧12개월 유지취업률은 각각 78.3%, 64.3%
취업 후 군에 입대하는 고졸 취업자의 특수성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아
“직업교육 혁신지구 사업 운영해 직업계고 경쟁력 강화 노력할 것”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비율. 자료=교육부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직업계고를 졸업자 취업 통계 조사 결과 전년 대비 2.4%p 증가한 57.8%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 직업계고 졸업자 중 취업자의 6개월, 12개월 유지취업률은 각각 78.3%, 64.3%로 집계됐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022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 조사 결과’가 이같이 집계됐다고 26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매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고용‧건강(직장)보험 등 공공 데이터베이스(DB)와 연계해 취업률‧유지취업률‧진학률 등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를 조사한다.

이번 조사는 2022년 1, 2월 직업계고 졸업자 7만 6760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됐으며, 유지취업률 조사는 지난해 직업계고 졸업자 중 취업자 2만 2492명이 대상이다. 3차 유지취업률(18개월)은 2020년 직업계고 졸업자 중 취업자 2만 485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2022년 직업계고 졸업자 전체 취업률은 57.8%로 전년 55.4% 대비 2.4%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학자는 전년 대비 843명 감소했지만 진학률은 45.2%로 전년도 45.0%와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2021년 대비 2022년 직업계고 졸업자 졸업 후 상황. 자료=교육부

취업 또는 진학, 입대 등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미취업자 수와 비율은 모두 감소했다. 2020년 2만 4290명(27.0%)에서 2021년 1만 8211명(23.1%)로, 2022년에는 1만 6550명(21.%)으로 3년 연속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유지취업률은 크게 1차, 2차, 3차로 나눠 취업 후 6개월, 12개월, 18개월 후에도 고용‧건강 보험을 유지하는 비율을 조사했다.

2021년 직업계고 졸업자의 6개월 후 유지취업률은 78.3%, 12개월 후 유지취업률은 64.3%, 18개월 후 유지취업률은 61.9%로 집계됐다.

2021년 직업계고 취업자 유지취업 현황. 자료=교육부

다만, 1, 2, 3차 유지취업률 모두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취업 후 군에 입대하는 고졸 취업자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를 공공 데이터베이스(DB)와 연계해 신뢰도를 제고하고, 치업 관련 세부정보를 다각적으로 파악해 직업계고 취업 지원 정책 수립에 활용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고졸 취업 활성화 지원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 결과, 코로나19 장기화 및 경기 침체 등으로 전반적으로 취업‧고용 여건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취업자와 취업률 모두 소폭 상승했다”고 밝혔다.

앞서 교육부는 직업계고 취업 지원을 위해 △고교 취업연계 장려금 △현장실습 기업현장교사 지원금 △중앙‧시도 취업지원센터 운영 △양질의 고졸 일자리 확대 △고졸자 후속관리 모델 개발 등을 운영해 왔다.

향후 교육부는 고졸 취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 정책 이외에도 산업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사전 직무교육 및 현장교육을 통합 제공하는 ‘채용연계형 직무교육과정’을 확대‧운영해 직업계고 졸업자가 취업 후 원활하게 실무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직업계고의 신기술‧신산업 분야 학과 개편을 지원하고, ‘지자체-교육청 간 직업교육 플랫폼’을 통해 직업계고-지역기업-대학이 참여하는 고졸 인재 성장 경로를 구축하도록 지원하는 직업교육 혁신지구 사업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직업계고 졸업생의 취업률이 2년 연속 상승한 점은 학과 재구조화, 직업교육과정 개편, 학습 중심 현장실습 등 직무 현장에 적합한 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고졸 인재들의 취업 등 진로 발굴 및 사회 안착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마련해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률의 상승 추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에는 직업계고 졸업자의 교과(군)별‧표준교육분류별‧산업유형별 현황 등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자료는 11월 중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누리집에 탑재해 누구나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