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우리나라는 출생아 27만 5800명, 사망자 30만 7700명으로 인구가 줄어드는 데드크로스(deadcross)를 처음 경험했다. 2022년 우리나라 출산율은 0.78%를 기록했다. 2020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합계출산율 1.59명의 절반도 안 되는 수치다. 초저출산율 기준이 1.3%인데 반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당연히 OECD 국가 중에서는 10년째 꼴찌란다. 가히 출산율 쇼크가 아닐 수 없다.

지난 22일 통계청은 ‘2022년 출산·사망통계(잠정)’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출생아 수는 24만 9000명으로 전년 대비 1만 1500명(-4.4%) 감소했다. 사망자 수는 37만 2800명으로 전년 대비 5만 5100명(1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자연증가(출생-사망)는 -12만 3800명, 전년 대비 6만 6700명 감소했다. 2020년 첫 자연감소 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유일하게 세종(1500명)에서만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보다 많아 자연증가했고, 경북(-1만 6500명) 부산(-1만 3600명) 등 16개 시도는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보다 적어 자연감소했다.

년도별 인구 감소 추세를 보면 2035년부터 매년 15만 명에서 20만 명 넘게 인구가 자연 감소하게 된다. 그 폭은 해가 갈수록 커지는데 2045년 30만 명대, 2050년 40만 명대, 2055년 50만 명대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총인구는 2041년 4999만 8451명으로 처음으로 4000만 명대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된다. 2054년에 4500만 명대, 2066년에는 3000만 명대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가히 인구감소의 수렁으로 우리나라가 빨려 들어가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당장 학령인구 급감으로 신입생 확보에 비상이 걸린 대학으로서는 시간이 갈수록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도부터 지방국립대 미달이 시작되고 여타 지방 사립대학들도 급격하게 힘들어질 것이란 예상이 돌았는데, 예상대로 거점국립대학은 물론 수도권대학들도 일제히 추가모집에 들어갔다. 이미 신입생 입학식이 치러진 대학도 2월 28일까지 계속 학생모집을 실시한다. 이른바 신입생 모시기 3차전이 벌어지고 있다.

대교협 자료(2023.2.22. 기준)를 분석한 결과, 180개 대학에서 1만 8767명을 추가모집 한다. 전년 대비 23곳 늘었고 인원도 전년보다 288명 늘어난 수치다. 이 중 서울 소재 대학 추가모집 인원은 700명대 후반으로 지난 해 두 배 수준으로 늘어났고, 경기와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으로 확대해 보면 1800명 이상으로 늘어난 수치다.

국립대 경우도 만만치 않다. 경북대(76명), 부산대(20명), 충남대(24명), 전남대(73명), 전북대(32명), 충북대(24명), 강원대(16명), 경상국립대(90명), 부경대(65명), 제주대(155명) 줄줄이 추가모집을 하고 있다. 바야흐로 인구감소 폭탄이 전국적인 차원에서 대학에 쏟아지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많은 대학인들이 2024학년도 학령인구 급감 시기를 지나면 입시상황이 좀 나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그렇게 녹록지는 않을 것이다. 장래인구추계는 인구 급감 현상이 시간이 경과될수록 급격하게 진행될 것임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인구학자인 서울대 조영태 교수는 그의 책 『인구, 미래, 공존』에서 2020년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인구감소 영향이 현실화되는 2030년이 오기 전 10여 년 정도가 우리에게 인구감소에 대응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 수 있는 점을 설파하고 있다.

조 교수는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15년 넘게 한국사회의 주요 이슈였지만 정부가 별다른 대응을 하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공존의 시각에서 이 문제를 다룰 것을 제안한다. 그는 정책변화는 미래 세대, 즉 청년 세대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대응하는 방식에 따라 미래도 바뀔 수 있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대학에도 마찬가지다. 2020년대는 대학 혁신의 마지막 골든타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학령인구 감소에 대한 경고음은 끊임없이 나왔다. 그러나 대학이 느끼는 감도는 약했다. 그러니 구조조정에 소홀하고 구성원들이 제 몫 지키기에 여념이 없었던 것 아닌가?

이제 인구절벽은 미래가 아니라 현실이 됐다. 2020년대를 어떻게 보내는가에 따라 대학의 생존이 결정될 것이다. 지금이야 수도권에 있는 대학들이 선호도가 높지만 미래시대에도 그럴 것인가는 의문이다.

교육 패러다임 전환기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대학 소재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그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서비스의 질이 선택의 키가 될 시기가 오게 된다. 지금부터라도 대학 혁신의 고삐를 바짝 붙들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적합한 대학으로의 전환을 서둘러야 하지 않을까?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