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생 늘리고, 우수 프로그램 내보내 '세계화'

대졸자 과잉 공급에 따라 청년실업자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전문대학이 “세계로”를 외쳐 주목을 받고 있다. 유학생은 늘리고 전문대학의 우수 프로그램은 수출해 문제를 타계하자는 것.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27일 프레스센터에서 연 ‘직업교육의 선진화방안’ 학술대회에서는 전문대학의 원래 목적인 직업교육의 경쟁력을 높이고 전문대학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방안들이 나왔다.

‘전문대학 직업교육 국제화 방안 모색’을 주제로 발표한 김성태 명지전문대학 교수는 “전문대학의 직업 교육을 국제화 하기 위해서는 다른 여러 나라와의 교류가 필요하다”면서 “인적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와 재정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이에 대해 전문대학이 수행하는 직업교육의 국제화 형태를 △대기업과 연계해 해외 사업장에 필요한 현지인을 주문식 교육의 형태로 국내에서 교육한 후 대기업 해외사업장으로 취업시키는 프로그램(유학생 주문식 교육)과 △다양한 형태의 경로를 통해 우리나라 전문대학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해외에 수출하는 경우(직업교육 수출)로 나누어 모형을 내놓았다.

‘유학생 주문식 교육 모형’은 해외 우수 유학생 확보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는 3년 이상 중장기 사업이다. 대학이 특화된 해외 유학생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토록 지원하고, 유학생 교육 및 학사관리 인프라를 구축하자는 게 주 골자다. 김 교수는 이를 위해 대학의 교육성과와 발전 및 여건을 나타내는 지표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직업교육 수출 모형’은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실적에 따라 매년 20개교를 선정해 40개 대학 이상이 성공할 수 있도록 10년까지 지원하는 내용을 담았다. 해당 나라의 대학과 한국기업 간의 3자가 협약하는 ‘해당국 대학 연계형’과 해당국 전문대학과 우리나라 전문대학이 연계해 현지에서 직업교육을 시행하는 ‘한국 수출산업체 연계형’, KOICA(한국국제협력단)에서 진행하는 교육 지원 사업에 전문대학이 연계해 직업기술을 지원하는 ‘정부기관 연계형’, 전문대학의 직업교육프로그램을 해외 대학에 로열티를 받고 공급하는 ‘직업교육프로그램 공급형’ 모델 등이 나왔다.

김 교수의 주장에 대해 전문대학의 질부터 우선 높이고, 해외에서 통용되는 인증이나 평가에 대한 검증을 거치자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와 함께 유학생 관리 문제 역시 해결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김종갑 한국전문대학교육햡의회 전문위원은 “유학생 주문식 교육모형의 경우, 외국인 졸업생에 대한 취업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과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을 원하는 입학생에 조건을 완화해주는 방안을 좀 더 연구해야 환영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직업교육 수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우리의 교육상품을 외국에 판매하기에 앞서 전문대학 교육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글로벌 스탠더드화’가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병우 한국산업인력공단 해외취업국 팀장 역시 “현재 유학생 유치 문제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유학생 관리”라고 지적한 후 “유학생이 유학을 결정할 때 중요한 결정 요인인 취업 문제를 해외산업체와 취업약정형 주문식 교육으로 해결한다면 우수하고 안정적인 유학생의 확보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윤 팀장은 또 직업교육 수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IT기술 강국인 한국의 직업교육 시스템을 수출한다는 제안은 좋은 방향제시라고 생각한다”면서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소프트웨어를 전문적으로 연구개발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과 나라·직종·업종별 직업 교육프로그램을 컨설팅 할 수 있는 TF를 구성해 방안을 모색해보자”고 제안했다.

한편, 이날 진행된 학술대회에서는 전문대학 뿐 아니라 전문계고의 교육과정 선진화 방안과 국가직무능력표준 적용 방안 등 직업교육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들이 나왔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날 열린 학술대회에서 나온 결과를 토대로 직업교육의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차관은 이와 관련 “우리나라 교육의 가장 큰 문제인 ‘사교육’과 ‘고학력’ 거품을 걷어내려면 직업교육을 선진화 하는 게 근본 해결책”이라면서 “정부는 이를 위해 전문계고·전문대학의 연계·발전과 산학협력을 담당하는 기관 마련 등 여러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이에 대해 “오늘 나온 내용들을 종합해 6월 중순 경 ‘평생직업교육 구축’의 기본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