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지분 보유 의무가 투자 위축한다는 의견 제기돼
현물출자 비율(30%), 자회사 의무 지분 보유비율(10%) 등 개선

교육부(사진=한국대학신문DB)
교육부(사진=한국대학신문DB)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대학의 수익 창출과 수익구조 다변화에 기여해 왔던 산학연협력기술지주회사의 규제가 대폭 해소된다.

교육부는 1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대학이 보유한 우수한 기술의 사업화·활성화를 위한 ‘산학연협력기술지주회사(이하 기술지주회사) 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기술지주회사는 대학이 보유한 기술을 사업화하고 이를 통해 창출된 수익을 연구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007년 도입됐다.

2008년 7월 한양대 기술지주회사 설립을 시작으로 매년 증가해 현재 80개의 기술지주회사가 설립·운영 중이다.

기술지주회사는 그간 적극적인 투자 등에 힘입어 자회사가 증가했을뿐만 아니라 투자 회수율 상승은 대학의 수익 창출 및 수익구조 다변화에 기여해왔다. 2008년 2개였던 자회사 수는 2022년 기준 1478개까지 증가했다.

특히 2012년부터 2016년까지 회수율은 31%에 그쳤지만 2017년부터 2021년까지 회수율은 138%에 이르면서 급격히 상승했다.

그 결과 2021년 기술지주회사 매출액 468억 원 중 210억 원을 산학협력단에 배당해 대학의 연구 활동 등 기술사업화 촉진에 재투자가 이뤄졌다.

대표적으로 가톨릭대학교 기술지주회사는 자회사가 2021년 코스닥에 상장할 수 있도록 지원했고, 자회사 지분 매각으로 얻은 수익 350억 원 중 250억 원을 산학협력단에 배당했다.

그러나 법령에서 규제하고 있는 과도한 지분 보유 의무 등은 오히려 기술지주회사 및 자회사에 대한 투자를 위축해 대학 기술사업화의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교육부는 전문가들과 폭넓은 토론을 거쳐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했고, 앞으로 산학협력법 등 관련 법령 개정 등을 통해 제도 개선방안을 이행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투자환경을 개선해 기술사업화 활동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대학 산학협력단이 기술지주회사 총 자본금(현금+현물)의 30%를 초과해 출자해야 하는 현물(기술) 비율을 기술지주회사 설립 시에만 유지하도록 해 외부 투자유치 활동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가능성 있는 우량 기업 발굴 및 후속 투자가 제약받지 않도록 기술지주회사의 자회사에 대한 의무지분율(10% 이상)을 최초 설립 시에만 준수하도록 개선한다.

해당 사안의 경우 그 동안 외부투자 유치 등으로 자회사의 가치가 커질수록 10% 지분율을 충족하기 위해 추가 비용이 발생돼 왔다. 즉, 의무지분율 규정이 기술지주회사의 큰 부담으로 작용해왔던 것이다.

이와 함께 기술지주회사의 효율적 경영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유연한 제도를 적용한다. 기술지주회사 자회사로 편입(주식·지분 매입)할 수 있는 회사 범위를 확대 환경 변화에 따른 기술의 융·복합 사업화 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현재의 경우 기술지주회사를 운영하는 대학이 보유한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으로 범위가 한정돼 있지만 개선안은 해당 대학 또는 다른 대학이 보유한 기술을 활용하는 중소기업까지 확대된다.

또한 현행 기술지주회사 이익배당금은 ‘연구개발 기획업무’에만 사용하도록 한정돼 있지만 이를 ‘연구개발 업무 전반’으로 확장한다.

이 외에도 기술지주회사의 특성에 맞는 회계처리 설명서를 마련하고, 사업화 실적이 부족한 회사를 대상으로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기술지주회사 운영이 내실화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최은희 교육부 인재정책실장은 “대학이 보유한 우수한 기술은 산업체에 이전되거나 창업 등을 통해 활용될 때 비로소 빛을 발한다”며 “기술지주회사 및 자회사의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규제는 과감히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