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제도 개편, 지방대학 발전, 전인교육, 직업·평생교육, 미래과학인재양성 특위 위원 총 69명 구성
전인교육 특위, 이배용 국교위 위원장이 직접 위원장 맡아…학교폭력 문제 등 중요성 감안
대학입시제도 개편 특위 위원장 김창수 중앙대 전 총장, 지방대학 발전 특위 위원장 김무환 포항공대 총장
직업·평생교육 특위 위원장 박호군 전 과학기술부 장관, 미래과학인재양성 특위 위원장 강태진 서울대 명예교수

국가교육위원회는 17일 전체회의를 열고 대학입시제도 개편, 지방대학 발전, 전인교육, 직업·평생교육, 미래과학인재양성 5개 분야 특별위원회(이하 특위) 위원 총 69명을 구성했다. (사진=국가교육위원회 제공)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국가교육위원회(이하 국교위)는 대학입시제도 개편, 지방대학 발전, 전인교육, 직업·평생교육, 미래과학인재양성 5개 분야 특별위원회(이하 특위) 위원 총 69명을 구성했다.

지난 17일 이배용 국교위 위원장은 식견과 경험을 갖춘 각계 전문가를 국교위법 시행령 제19조 제3항에 따라 구성하고, 제11차 회의에 보고했다.

대학입시제도 개편 특위는 대입제도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김창수 중앙대 전 총장이 위원장을 맡았다. 위원은 학계·교사·학부모 등 총 17명으로 구성됐으며 장기적 대입제도 개선 방향, 교육부의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시안 등에 대한 전문적 검토를 수행한다.

지방대학 발전 특위는 각 지방대학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김무환 포항공대 총장이 위원장을 맡았다. 위원은 여러 지방대학 총장 및 교수와 관계전문가 등 총 16명으로 구성됐으며, 저출산·고령화 및 수도권 대학 선호 등으로 인해 위기에 놓인 지방대학 육성을 위한 발전방향 마련에 주력할 예정이다.

전인교육 특위는 최근 이슈가 된 학교폭력 문제 등의 중요성을 감안해 이배용 국교위 위원장이 직접 위원장을 맡았다. 위원은 지·덕·체를 아우르는 분야의 전문가 총 13명으로 구성됐으며, 더불어 살아가는 데 근본적으로 필요한 품성과 역량을 기르기 위한 전인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

직업·평생교육 특위는 평생학습시대 변화에 부응해 현장의 다양한 경험과 축적된 지혜를 통해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박호군 전 과학기술부 장관이 위원장이 맡았다. 위원은 학계, 연구계, 산업계 등 총 12명으로 구성됐으며, 직업계고·전문대학 활성화 등 현장이 체감할 수 있는 중장기적 정책 방향에 관해 논의한다.

미래과학인재양성 특위는 우수한 연구역량과 창의력을 지닌 인재양성 방향을 고민하기 위해 강태진 서울대 명예교수가 위원장을 맡았다. 위원은 학계와 연구계를 망라하는 전문가 등 총 11명으로 구성됐으며, AI·우주·반도체·바이오·디지털 등 주요 분야의 창의적 과학인재 양성을 위한 구체적 지원 방향을 모색한다.

5개 분야 특위는 4월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배용 위원장은 “오늘 논의를 통해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를 지정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조사·분석·점검 등을 지원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각 분야에서 높은 식견을 갖춘 분들이 참여하는 만큼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미래 교육 방향에 대한 전문적이고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17일 진행된 제11차 회의 현장. (사진=국가교육위원회 제공)

한편 같은 날 진행된 제11차 회의에서는 특위 구성 외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보고와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 지정(안), 국민의견 수렴·조정 절차 운영방안(안)에 대한 심의도 진행됐다.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 지정(안)’은 원안 의결해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을 지정했다. 이에 따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년 동안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조사·분석 및 점검, 국가교육과정 모니터링단 운영, 교육과정 관계기관 간 협력 네트워크 운영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국민의견 수렴·조정 절차 운영방안(안)’은 향후 국민의견 수렴·조정 절차를 운영하기 위한 전문위원회 구성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으며, 차기 회의에서 논의 후 결정할 예정이다.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 학교 현장의 변화에 대한 기대와 더불어 체계적인 교원양성이 이뤄지길 바란다는 요청이 있었으며, 교수학습방식의 혁신이 함께 수반돼야 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철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국교위 위원들의 우려를 전달했다.

차기 회의는 4월 14일에 개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