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부터 21일까지 청주 글러스터 호텔에서 국제교류관리자 세미나 개최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 문제 분석해 전문대학만의 인증제 대비 전략 모색
궁극적 목표는 유학생 취업, 어학 교육과 전담학과 필요하다는 의견 제시

전문대학 국제교류관리자협의회가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청주 글러스터 호텔에서 ‘2023년 전문대학 국제교류 및 해외 유학생 유치관리 취업 교육’ 세미나를 개최해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사진=정은아 기자)
전문대학 국제교류관리자협의회가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청주 글러스터 호텔에서 ‘2023년 전문대학 국제교류 및 해외 유학생 유치관리 취업 교육’ 세미나를 개최해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사진=정은아 기자)

[한국대학신문 정은아 기자] 전문대 국제교류 관리자들이 외국인 유학생을 확대 유치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관계자들은 그동안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가 전문대 실정에 맞지 않게 운영됐던 점을 지적하며 3주기 인증제와 실태조사에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지역특화형 비자 취지에 주목해 지자체, 지역산업과 연계함으로써 외국인 유학생이 지역에 안착할 수 있도록 돕고,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을 지원함으로써 성공적인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꾀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전문대학 국제교류관리자협의회(회장 박종식, 동원대)는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청주 글러스터 호텔에서 ‘2023년 전문대학 국제교류 및 해외 유학생 유치관리 취업 교육’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는 김홍길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위원(경남정보대 교수), 안정근 경복대 국제교류처장, 김진호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국제협력실 주임, 박종식 협의회장, 강인권 협의회 수석부회장(제주관광대) 등이 참석했다.

23일 기준 우리나라 전체 외국인 유학생은 20만 명 돌파했다. 이 가운데 전문대 유학생은 학위과정 9905명, 연수과정 4554명 등으로 집계됐다. 특히 연수 과정보다 학위과정에서 증가세가 뚜렷한 특징을 보인다. 전문대교협에 따르면 최근 6년간 전문대 학위과정 유학생은 연평균 3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추세라면 오는 2026년에는 3만 2000명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교육계에선 인구감소 시대에서 외국인 유학생 유치전략은 전문대에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하지만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 기준이 다소 까다롭다는 지적이 있어, 이는 해결 과제로 꼽힌다. 박종식 회장은 “교육부와 법무부가 기존 인증제의 모순을 해결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며 “올해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인증제 개선 방향은 = 안정근 경복대 국제교류처장은 올해 일반대 인증대학의 특징을 중심으로 인증대학 유지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안정근 처장은 “올해 일반대 인증대학 중 90%가 한국어 과정을 운영했다. 총 98개교 중 89개교에서 한국어 과정을 운영했고, 이 중 72개교가 인증을 받은 것”이라며 “한국어 과정은 유학생에게 국내 적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앞으로 전문대도 상대적으로 어학성적 보유자를 확보하기 쉬운 우즈베키스탄, 네팔 등 유학생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중도탈락률에 대한 조언도 이어졌다. 안 처장은 “중도탈락율은 불법체류 문제와 함께 다뤄야 한다”며 “일반대 인증대학 중도탈락률은 2.8%에 그쳤다. 반면 전문대는 17.3%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다만 “탈락율을 산정할 때 재학생 수를 분모로 계산하기 때문에 전문대의 경우 수학기간이 짧아 다소 불리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진호 전문대교협 국제협력실 주임은 인증제가 전문대 특성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개선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김진호 주임은 “인증위원회가 일반대에 편중돼 운영되고 있어 직업교육 분야 유학생 유치관리를 평가하기에는 전문성이 다소 부족하다”며 “일반대는 학술·연구 중심으로 평가받고 전문대는 취업과 지역 정주에 초점 맞추는 등 평가 기준이 분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인증제가 인구감소 시대에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김 주임은 “과도한 실태조사로 인해 인증제가 오히려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걸림돌이 되는 경우가 있다. 실태조사보다는 인증 취득 대학에게 혜택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 ‘지역특화형 비자(F-2-R)’ 활용, 지역 상생 외국인 유학생 유치 = 지역특화형 비자(F-2-R)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지역특화형 비자는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지방대·전문대가 유학생으로 유치하고 직업교육을 제공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취업을 지원함으로써 지역특화 인재로 양성하고, 일정 기간 거주 조건으로 취업 활동에 제한 없는 비자를 부여하게 된다.

김진호 주임은 “전문대는 지역과 연계해 인력 부족 직군에 주목하고 지역특화형 비자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전문대 유학생들은 호텔 관련 학과에 많이 분포돼 있다. 전문대 학생들은 취업을 목표로 한다는 점을 고려해 지역특화비자를 활용한 유학생 유치전략을 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진 지역인재와 산업인력 확보를 위한 외국인 유학생 연계 가능 비자 제도를 잘 활용하고 있지 못하는 편”이라고 전했다.

이밖에 ‘외국인인력 양성대학(E-7-4)’과 ‘외국인유학생 특례(E-7-3)’ 등도 주목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특히 ‘외국인유학생 특례’ 비자 기준이 완화됐다는 점을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전문대학 국제교류관리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직무 교육을 수강하고 있다. (사진=정은아 기자)
전문대학 국제교류관리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직무 교육을 수강하고 있다. (사진=정은아 기자)

■ 유학생 유치 핵심은 ‘취업’…어학 프로그램, 전담학과 개설해야 = 전문대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취업 의지가 강하다는 특징을 살려 해외 취업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어학 교육 프로그램, 유학생 전담학과를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은실 원광보건대 국제협력팀 담당관은 특히 해외 취업을 위해서는 어학 능력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담당관은 “국내에서 어학 교육을 하고 해외로 파견해 평균 1년 이상이 지나면 취업에 성공한다”며 “학생들이 중간에 포기하지 않고 현지에서 잘 적응만 해주면 영주권을 취득하고 정착할 수 있다. 학생들이 현지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박종식 회장은 외국인 전담 학과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외국인 유학생에게도 취업이 잘되는 학과가 좋은 학과다. 취업 로드맵을 갖고 있는 대학이 돼야 하는 것”이라며 “전자·전기, 호텔, 조리 분야가 특히 인기가 많다. 최근에는 요양보호사 인력이 부족해서 이와 관련된 분야도 전망이 좋다. 학과를 정하기 어렵다면 우선 자유전공으로 모집해서 학과 정원조정 시기에 전담 학과를 정하는 방법도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여러 부서가 따로 업무를 진행할 것이 아니라 통합적인 업무 추진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며 “입학홍보처와 국제교류원을 중심으로 총장·교무처·사무처 등으로 구성된 본부, 취업·진학 전담학과, 학생처와 정보전산센터 등이 연계해 유학생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 유학생 업무 역시 예산, 복지, 데이터 관리, 취업 지원 등 다양한 부서가 얽혀있는 분야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