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교협, 총장 대상 설문조사 실시…135개교 응답
‘무전공 모집’ 운영 대학 45.2%…확대 예정 77%
‘무전공 모집’ 미운영 대학 중 77% ‘도입 예정’ 답변
‘무전공 모집’ 걸림돌로 ‘학문 편중‧전공 쏠림 현상’ 꼽아
개선 사항으로 ‘대학‧계열 특성에 따른 도입’ 등 제시

6월 29일부터 30일까지 열리는 ‘2023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 하계 대학총장 세미나’에서 대학 총장들이 ‘대학-지자체 협력의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한명섭 기자)
지난해 6월 열린 ‘2023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 하계 대학총장 세미나’에서 대학 총장들이 ‘대학-지자체 협력의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대학신문 DB)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교육부가 최근 2025학년도부터 ‘무전공 모집’ 확대 기조를 밝힌 가운데 대학 총장들은 무전공 모집 확대를 두고 ‘학문 편중‧전공 쏠림 현상’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전공 및 자유전공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 중 77%는 현재 실시하고 있는 모집 방식의 확대를 고려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30일 회원대학 190개교 중 135개교 총장들이 답한 ‘대학 총장 설문 결과’를 발표했다. 대교협은 4년제 일반대 총장들의 협의체다.

이번 설문조사는 전국 4년제 대학 총장의 교육 현안 관련 의견을 수렴해 공유하고 정책 건의 등에 활용하기 위해 실시됐으며, 지난 10일부터 22일까지 공문 및 이메일을 통한 웹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앞서 교육부는 정책 시안을 통해 2025학년도 입시부터 자유전공학부 또는 광역단위 선발 25%를 목표로 비율이 높을수록 국고 일반재정지원사업의 인센티브를 더 많이 주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더해 30일 ‘2024년 대학혁신지원사업 및 국립대학 육성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함으로써 이를 확정했다.

이와 관련해 응답 대학 중 ‘모든 전공에 대해 구분 없이 모집(무전공)’하는 대학은 28개교(20.7%)였으며, ‘계열 또는 단과대 단위로 모집(자유전공)’하는 대학은 33개교(24.5%)로 집계됐다. 응답한 대학 중 절반에 가까운 61개교(45.2%)가 ‘무전공 모집’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들 대학 중 향후 ‘확대 예정’인 대학은 47개교(77%)였으며, 현재 운영하지 않는 74개교 중 57개교(77%)는 ‘도입 예정’이라고 밝혔다.

(자료=대교협)
자유전공(또는 무전공) 운영 현황 및 향후 계획. (자료=대교협)

대학 총장들은 ‘무전공 모집’ 확대에서 가장 우려되는 부분으로 ‘학문 편중, 전공 쏠림 현상(44개교)’을 꼽았다. 이어 ‘구성원 반발‧갈등에 따른 설득 및 협의(30개교)’, ‘대학 및 계열 특성에 따른 일률적 적용 어려움(28개교)’, ‘신입생 유치‧모집 및 정원 확보 문제(23개교)’, ‘운영에 따른 행‧재정적 어려움(학사구조조정 및 개선 포함)(21개교)’ 순으로 답변했다.

이 같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개선 사항으로는 35%가 넘는 총장들이 ‘대학 및 계열 특성에 따라 도입‧운영의 자율성과 개선책 마련 필요’라고 답했다. 이어 ‘장기전 관점에서 단계적 도입’, ‘자유전공‧무전공 운영을 위한 재원 확보’, ‘규제 개선 및 제도적 장치’ 등을 제안했다.

현시점 대학 총장들의 가장 큰 관심 영역으로는 ‘재정 지원사업(정부, 지자체 등)’이 71.9%(97명)로 가장 높았으며, ‘신입생 모집 및 충원’ 63.7%(86명),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교육’ 54.8%(74명), ‘교육과정 및 학사 개편’ 46.7%(63명), ‘등록금 인상’ 43.7%(59명) 등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5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와 관련해 대학 총장들이 가장 우려하는 요소로 ‘지역대학 간 경쟁‧갈등 및 일부 특정대학 편중’이 지적됐다. 이에 따른 개선 사항으로는 ‘지자체와 RISE 전담기관의 대학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RISE 체계 내 유학생 유치 관련 정부‧지자체 지원 필요 영역으로는 ‘행‧재정적 지원을 통한 학내 외국인 유학생 교육 인프라 구축’ 67.9%(91명), ‘지역특화형비자 확대 등을 통한 유학생 입국 절차 완화’ 59.7%(80명), ‘지역 산업체 연계 현장학습 제공 및 취업처 연계’ 53.0%(71명) 등이 제시됐다.

이와 관련한 정부‧지자체‧대교협 지원에 대해 △유학생 비자 제도 개선 △지자체 연계 취업 지원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 제도 개선 △유학생 중도 이탈 및 불법체류 관리 책임 분담 △유학생 정주 지원 등이 요청됐다.

한편, 대교협은 오는 31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2024년 정기총회’를 개최한다. 이날 총회에는 143개 대학 총장이 참석해 제22대 임원단을 선출하고 고등교육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