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전환 학과 “입학정원 보장” 요구...본부 대응 ‘주목’

중앙대가 우여곡절 끝에 구조조정안을 확정했지만,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특히 △학부제 전환 학과의 정원 보장 △책임부총장제 도입 △학문단위별 정원 조정 △캠퍼스별 학문단위 배치 등 풀어야할 난제가 산적해 있어, 논의결과에 따라 또 다른 갈등이 예상된다.

중앙대는 다음 달 초 이사회를 열어 지난 23일 교무위원회를 통과한 학문단위 구조조정안을 통과시켰다. 구조조정안은 현행 18개 단과대학 77개 학과(부)로 구성된 학문단위를 10개 단과대학과 46개 학과, 61개 모집단위로 재편하는 게 골자다.

구조조정 최종안 발표 이후 가장 강하게 반발하는 곳은 어문계열이다. 최종안은 일문어문학·중국어문학·비교민속학 전공을 ‘아시아문화학부’로 묶고, 독일어문학·프랑스어문학·러시아어문학을 ‘유럽문화학부’로 통합시켰다.

이들 학과들은 문화와 언어가 상이한 학과를 학부제로 묶는 데에 반대하고 있다. 학부제 전환보다는 학과제 유지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학교측이 학부제 전환을 밀어붙일 경우에도 모집단위별 정원보장은 관철시키겠다는 입장이다.

강내희 교수협의회장(영문과 교수)은 “어문계열의 경우 학과제 유지를 주장하고 있고, 만약 그렇지 못할 경우 입학정원을 보장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최근 대학평의원회가 이러한 어문계열의 주장을 받아들여 학교측에 ‘학과제 유지와 정원보장’을 공식 요구해 다음 달 초 이사회 의결 결과가 주목된다.

책임부총장제 도입도 쟁점 사안이다. 중앙대는 지난해 12월 29일 1차 구조조정안에서 각 단과대를 △인문ㆍ사회ㆍ사범 △자연ㆍ공학 △의ㆍ약학 △경영ㆍ경제 △예ㆍ체능 등 5개 계열로 재편하고, 계열별 책임부총장을 두겠다고 밝혔다. 외부 인사를 영입, 책임부총장으로 임명하고 인사·교육·연구지원 등의 모든 권한을 위임하겠다는 것이다.

교수들은 이를 대학 전체를 ‘상명하달식’ 체제로 재편하기 위한 포석으로 분석한다. 부총장으로 영입한 외부 인사를 통해 대학의 ‘기업식 운영’을 강화할 것이란 관측이다. 학장이 단과대를 관할하는 체제에선, 교수들이 학장을 통해 대학 운영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지만 책임부총장제 하에선 이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 제기다. 강내희 교수는 “책임부총장제 영입은 상명하달식 체제를 갖추기 위한 것”이라며 “학장체제가 사라지면 교수들의 언로도 막히게 된다”고 말했다.

반면 본부측은 책임부총장제 도입에 대한 의지를 꺽지 않고 있다. 연구·검토를 거쳐 오는 6월 말쯤 행정조직개편에 관한 결과물을 내겠다는 입장이다. 안국신 부총장은 최근 ‘중대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학내 구성원들이 제기하는 책임부총장제의 문제점을 어떻게 보안해 나가느냐에 대해 기획처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며 “6월 말 쯤 행정조직개편에 대한 결과물이 나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학문단위별 정원조정과 캠퍼스별 학문단위 배치도 폭발성을 가진 쟁점이다. 대학본부는 이에 대한 연구가 오는 7월쯤 윤곽을 드러낼 수 있을 거란 입장이다. 그러나 학과 이익과 직결되는 정원 증·감은 이번 구조조정 못지않게 민감한 사안이다. 소속 단과대·학과(부)의 캠퍼스 이전까지도 염두에 둬야 할 캠퍼스별 학문단위 배치도 논의 결과에 따라 파급력이 클 것으로 예측된다. 중앙대 관계자는 “정원조정과 캠퍼스별 학문단위 배치는 구조조정 보다 더 폭발적인 사안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