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따라 몰려오는 학생들… 지원율 상승 효과

200개 남짓한 4년제 대학 중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대학은 몇이나 될까. SKY 대학을 비롯한 몇몇 서울 주요 대학 정도에 그쳐 생각보다 많지 않다.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대학들 역시 손에 꼽을 정도다. 하지만 그런 가운데서도 주목받는 곳은 있다. 규모가 작거나 지방에 위치해 비교적 덜 알려졌지만, 스타 교수들이 이름값을 톡톡히 하는 대학들이다.

10일 대학가에 따르면 높은 인지도로 소속 대학을 대중의 머릿속에 각인시키는 교수들이 각광받고 있다. TV 인기 프로그램에 출연한 경우 재직 중인 대학의 지원율 상승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 TV출연 효과 ‘제대로’ 대학 인지도 쑥쑥 = 대중과 가까워지는 가장 빠른 방법은 TV 출연이다. 사람들이 즐겨보는 인기 프로그램에 나와 이슈가 된다면 금상첨화다. 높은 시청률을 자랑하는 KBS ‘해피선데이’에 출연해 화제가 됐던 두 지방대 교수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호원대 박칼린 교수(방송연예학)는 ‘남자의 자격’에 출연해 독특한 배경과 카리스마로 대중에게 어필해 언론의 관심을 받는 이슈 메이커가 됐다. 덩달아 호원대의 대외 평판도 업그레이드됐다. 그가 가르치는 방송연예학부 뮤지컬전공의 지원율 역시 올해 3배 가량 높아졌다. 박 교수 덕분에 인지도가 올라가자 이 대학 강희성 총장은 설 연휴를 맞아 박 교수에게 고마움을 담은 편지와 함께 자그만 선물을 전달했다. 호원대 신권섭 비서팀장은 “비싼 선물은 아니었지만 총장님이 직접 쓴 편지로 마음을 표시했다”고 귀띔했다.

왕년의 천하장사 출신 인제대 이만기 교수(사회체육학)는 최근 ‘1박2일’ 출연 이후 방송 섭외가 부쩍 늘었다. 기존 이미지가 부모 세대의 슈퍼스타, 천하장사였던 데 비해 지금은 인제대 교수로 보다 많이 소개되는 차이점이 있다. 특히 인제대는 올해 정시모집에서 6.03 대 1로 부산·경남 지역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와 관련, 인제대 관계자는 “이 교수의 방송 출연으로 지방에 위치한 우리 대학이 수도권에까지 많이 알려진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 “OO분야는 OO교수에게” 언론 즐겨찾아 = 언론에 자주 이름이 오르내리는 것도 소속 대학 이름을 널리 알리는 방법이 된다. “OO분야는 OO교수에게 물어보면 된다” 같은 인식이 퍼지면 매스컴의 집중 조명을 받는다.

세종대 호사카 유지 교수(교양학)는 독도 문제가 다뤄질 때면 으레 등장한다. 일본인 출신 귀화 한국인으로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주장하는 점이 특히 이목을 끈다. 최근에는 가수 김장훈 씨와 보조를 맞춰 대중에게 독도 문제를 알리는 데 앞장섰다. 대학 관계자는 “워낙 언론에 많이 나와 세종대를 대중적으로 알리는 데 확실히 도움이 됐다”고 전했다.

상명대 박거용 교수(영어교육)는 진보 성향 매체들이 고등교육 관련 내용을 기사화할 때 자주 찾는 전문가다. 한국대학교육연구소장으로 1기 사학분쟁조정위원을 지내는 등 상당한 영향력을 지녔다. 각종 사안에 대학 또는 재단측과 대립각을 세우는 경우가 잦아 해당 대학 입장에서 좋지만은 않지만, 그가 일종의 ‘상명대 알림이’ 역할을 하는 것도 사실이다.

■ 대중서 펴낼 때마다 ‘집중 조명’ 유명세 = 대중의 눈높이에 맞춘 책을 펴내 세간의 관심을 끄는 교수들이 있다. 베스트셀러에 오르거나 책을 낼 때마다 화제를 모으는 교수의 유명세에 따라 소속 대학도 각인되는 케이스다.
덕성여대 이원복 교수(시각디자인학)는 ‘먼나라 이웃나라’ 시리즈의 저자로 유명하다. 어른들도 함께 읽는 국민교양만화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이 대학 김현철 홍보팀장은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활동에 따라 자연스레 대학 인지도가 올라간다. 시리즈 단행본 출간 때마다 덕성여대 교수란 타이틀이 나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북대 강준만 교수(신문방송학)는 현존 인물의 실명을 거론하는 ‘실명 비판’ 문화를 주도하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덕분에 최근에도 신간이 나올 때마다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는다. 전북대 관계자는 “굳이 홍보하지 않아도 홍보되는 분이라 대학 이미지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다”며 “강 교수의 팬이라 전북대에 지원하는 학생들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 “영입에 공 들여라” 학부·단과대학 신설 = 이 같은 효과 때문에 스타 교수 모시기에 열을 올리는 대학들도 발견할 수 있다. 아예 새로운 학과·학부나 단과대학을 신설하는 등 파격적 조건을 내걸고 영입에 성공, 대학 이름을 알리는 데 큰 도움이 됐다.

성신여대 손석희 교수(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는 MBC 아나운서에서 대학으로 자리를 옮기며 곧바로 학부장 자리를 보장받았다. 원래 성신여대에는 미디어 관련 전공이 없었다. 손 교수 영입을 위해 학과 자체를 신설한 셈이지만 투자 대비 효과는 만족스럽다. 성신여대 관계자는 “정량적 평가는 어렵지만, 성신여대 교수란 타이틀을 걸고 매일 방송에 나오는 것만 해도 이미지 상승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동서대는 지난 2008년 ‘임권택영화예술대학’을 새로 설립해 이슈가 됐다. 한국 영화계의 거장 임권택 감독을 그의 이름을 딴 단과대학 학장이자 석좌교수로 모셨다. 영화 제작에 전념하던 임 감독 역시 후진 양성의 기회로 받아들여 수락했다. 영화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몰리면서 입학 성적이 높아졌고, 지원자 분포도 지역 학생들 위주에서 전국구로 바뀌었다.

■ “교수님 찾아 대학 간다” 지원율 상승도 = 유명 시인으로 우석대에 재직 중인 안도현 교수(문예창작학)는 문학을 좋아하는 학생들에게 인기가 높다. 대학 관계자는 “문예창작학과의 최근 3년간 지원자 수가 50명, 60명, 101명 순으로 크게 늘고 있다. 문학 전공을 바라는 수험생들이 안 교수를 보고 지원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고 전했다.

FTA 관련 전문가로 TV 토론 프로그램에 자주 출연한 한신대 이해영 교수(국제관계학)를 보고 찾아오는 학생들도 많다. 한신대 관계자는 “국제관계학부는 애초에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학생의 비율이 높아서 이 교수 때문에 한신대에 진학하는 경우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학팀 news@unn.net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