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통과 대학 20개교 중 9개 대학 ‘고배’

교육과학기술부가 10일, 대학가 최대 관심사인 2011년도 교육역량강화사업·학부교육선진화선도대학(ACE)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ACE사업에선 1차 통과대학 20개교 중 9개교가 고배를 마셨다. 교육역량강화사업은 지난해 선정 대학 88개교 중 18개교가 탈락했다.

ACE사업은 지난 3월 18일 사업신청을 마감할 결과 9개교 선정에 98개 대학이 몰려 평균 경쟁률이 11대1에 달했다. 그만큼 선정 여부에 대학의 관심이 집중됐던 사업이다.

■ ACE 수도권 대형 경희대 ‘선정’=1개교를 선정한 ‘수도권 대형’ 부문에선 경희대가 선정됐다. 1차 심사를 통과한 숭실대와 한양대는 최종 선정에서 고배를 마셨다. 2개 대학을 선정한 ‘수도권 중소형’은 서강대와 아주대가 축배를 들게 됐다. 탈락 대학은 광운대와 한국산업기술대다.

‘지방 대형’에선 계명대와 전북대, 충북대가 웃었다. 반면 부경대와 영남대가 탈락의 쓴잔을 맛보게 됐다. ‘지방 중소형’에선 동국대(경주), 목포대, 안동대, 우송대, 한밭대가 선정됐다. 경일대와 제주대, 한국해양대는 탈락했다.

당초 교과부는 올해 ACE사업 선정 규모를 ‘9개교’로 밝혔으나, 대학들의 기대에 부응, 이를 11개교로 늘렸다. 특히 지역대학에서 ACE사업이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고려해 수도권은 그대로 둔 채 지방 선정 대학을 대형과 중소형에서 각각 1개교씩 늘렸다.

교과부 대학지원과 김지은 사무관은 “ACE사업이 지방에서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미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선정 대학 수를 늘렸다”며 “학부교육에서 성공모델을 육성해 지역에 확산시키려는 취지도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대학별 배정 지원액은 지난해와 같다. 올해 300억원 정도가 추가 배정됐지만, 지난해 선정 대학(11개교)과 이를 나눠가지면서 대학별로 27억원을 지원받는다.

■ 선정 지방대학 2개교 늘려=ACE사업은 경쟁력 있는 학부교육 모델을 지원하기 위해 기획됐다. 지난해 처음 11개 대학을 선정했으며, 올해 추가로 11개 대학을 선정했다.

평가는 3단계로 이뤄졌다. 1단계 서면심사에서 유형별 선정 대학 수의 2~3배수인 20개 대학을 선정, 2단계 심사를 진행했다. 2단계 심사에선 대학별 면담평가와 현장실사를 진행, 최종 지원 대학을 가렸다.

교육역량강화사업에선 강릉원주대·광주교대·나사렛대 등 18개 대학이 탈락했다. 지난달 초 공시지표만으로 선정한 ‘가선정’그룹(80개교)에선 현장점검으로 이화여대 등 2개교가 탈락하고, 진주교대 등 2개 대학이 새로 진입했다.

올해 사업에선 총 165개교가 신청서를 제출, 2대1이 넘는 경쟁률을 보였다. 신청 가능 대학은 185개 대학으로 89.2%가 신청한 셈이다.

올해 선정 대학 80개교 중에선 수도권이 29개교, 지방이 51개교로 각각 36.3%와 63.8%를 차지했다. 설립 주체로 보면 국공립이 32개교(40.0%), 사립이 48개교(60.0%) 선정됐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지원받는 대학은 70개교(87.5%)로 18개 대학이 탈락했다. 신규로 지원 대상에 진입한 대학은 10개교다.

■ 역량강화, 숙대·이대·홍익대 ‘탈락’=지난해 선정 대학 중, 수도권에선 숙명여대, 이화여대, 홍익대, 덕성여대 등이 탈락했다. 반면 가천의대, 성공회대 등이 신규로 진입했다.

지방에선 동아대, 조선대, 호서대, 강릉원주대, 우석대, 광주교대, 청주교대, 호원대 등이 고배를 마셨다. 신규 선정 대학은 동국대(경주), 을지대, 충주대, 가야대, 광주여대, 예수대, 예원예술대, 중원대 등이다.

교육대에선 광주교대와 청주교대가 고배를 마신 반면 공주교대가 새로 진입했다. 산업대 중에선 호원대가 떨어지고 한경대가 선정됐다.

올해 교육역량강화사업 예산은 2406억원이다. 이 가운데 2366억원이 기본 지원금이며, 40억원은 성과평가에 따른 인센티브로 쓰인다. 사업 선정대학은 이달 중순까지 국고지원금 교부 신청서를, 이달 말까진 사업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교과부는 내년도 사업에선 국공립과 사립을 구분, 따로 지원 대학을 선정할 방침이다. 이주호 교과부 장관이 최근 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서 밝힌 내용과 같은 맥락이다. 당시 이 장관은 “교육역량강화사업에서 국립대와 사립대를 구분해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그간 지방 사립대 등에서 거론돼 온 불만을 수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방 사립대의 경우, 정부 지원을 받는 국립대와 경쟁해야 하는 점에서 불만을 제기해 왔다. 전임교원확보율·1인당교육비 등 여건상 국립대보다 불리할 수밖에 없는 지표로 경쟁해야 한다는 불만이다.

아울러 남녀 취업률 차이를 고려해 이 또한 따로 관련 지표를 산정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교과부는 “전문가 협의와 대학 의견 수렴을 통해 내년도 사업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