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후에도 총학 사업 관여하다 덜미

연세대(총장 김한중) 신선윤 전 대학원 총학생회장이 자치예산 7300만원을 횡령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신씨는 2년간의 임기를 마친 뒤에도 현 총학생회가 관장하는 기념품·학생수첩 제작에 관여했고, 이 과정에서 중개료 약 1400만원을 챙기려다 덜미를 잡혔다.

1일 연세대에 따르면 신씨의 비리에 대한 의혹은 지난 2월부터 제기됐다. 당시 대학원 총학생회는 기념품 숫자가 학생 수에 비해 터무니없이 적다는 점을 발견했다. 리베이트에 신씨가 연루됐음을 확인한 총학생회는 대학원 측에 신씨에 대한 조사를 의뢰했다. 조사 결과 신씨가 8차례에 걸쳐 공문서를 위조해 총 7290만원을 횡령한 사실이 입증됐다.

신씨는 비리 사실을 인정하며 횡령한 예산을 전액 대학원에 반환했지만 4월 20일 제적 처리됐다.

신씨가 회장직을 연임하며 2년간 거액을 빼돌릴 수 있었던 것은 허술한 감시체계 덕분이었다. 연세대 대학원은 자치예산을 총학생회장의 개인 계좌로 지급해왔다. 총학생회 집행부와 대학원 측이 사용 내역 공개를 요구하지 않으면 예산 정보를 알 길이 없다.

이에 대해 총학생회 관계자는 “집행부는 학기마다 교체되는데 회장 임기는 1년이라 편의상 총학생회장 개인 계좌를 이용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개인의 도덕성에 의존하는 이 같은 구조에서는 언제든 공금 횡령·유용 등 비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대학원생들의 무관심도 이번 사태에 한몫 했다. 보는 눈이 적고 개인 연구에만 신경쓰는 탓에 예산이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이 대학 정준영 학부 총학생회장은 “대다수 학부 총학생회 선거 투표율은 50% 정도지만, 대학원의 경우 투표율이 5% 수준에 불과하다”고 귀띔했다. 대학원 총학생회 관계자도 “대학원생들은 자신의 연구에만 몰두해 학생사회에는 무관심한 경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사건 처리가 마무리된 직후 대학원 총학생회는 투명성 보장을 골자로 한 운영 개혁안을 내놨다. 개혁안에는 △총무용 공인계좌 개설 △현금 위주에서 영수증 처리 등 발생주의 회계로 전환 △회계 기록 이원화 △선(先)지출에 대한 정기정산 등이 담겼다. 총학생회 측은 “진작 개선했어야 할 부분이다. 이런 불상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예방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연희 인턴기자 bluepress@unn.net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