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대학특성화지도 시안 공개

‘정보 공시제’가 내년 5월 시행됨에 따라 대학특성화지도 구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교육부가 지난 9일 개최한 ‘대학특성화지도 구축 방안 정책토론회’에는 전국 대학의 기획처장, 산학협력단장 등 300여명이 몰려 북새통을 이뤘다. 대학특성화지도는 대학의 분야별·기능별 특성화 추진현황을 전국·지역 차원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학생, 기업, 정부부처 등 수요자 선택에 의한 자율적 특성화를 유도하는 시스템. 올해까지 구축방안을 확정한 후 내년부터 본격적인 시스템 구축과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대학의 관심은 공개되는 정보의 범위에 쏠렸다. 지난 4월 국회를 통과한 정보 공시제가 내년부터 시행되면 전국 모든 대학이 교수·학생·연구·산학협력 등의 정보를 매년 공시해야 하기 때문. 정책연구를 맡고 있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박동열 부연구위원은 특성화지도에 들어갈 기본지표로 특성화 분야의 △교원 현황 △예산 △취업률 △학생 충원율 △산학협력 실적 △재정지원 수주 및 외부 대응자금 유치 실적 등 11개를 제시했다. 하지만 보다 세분화되고 다양한 정보가 들어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직능원이 대학재정지원사업에 참여하고 대학과 기업체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대학과 고등학생 모두 ‘졸업 후 진로 및 취업 분야’를 추가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기업은 ‘협력 업체 정보’와 ‘관련 장비 목록 및 교류 현황’ 등을 추가지표로 요구했다. 대학과 기업 모두 지도에 소개할 특성화 영역의 수는 3개가 적절하다고 생각했다(각각 44.3%, 40.3). 그 다음으로 대학은 4개(19.5%), 5개 이상(18.6%), 2개(15.8%)를 뽑은 데 반해 기업은 2개(30.6%), 4개(18.5%), 1개(6.5%)를 선택해 대조를 이뤘다. 김형일 충남대 산학협력단장은 “특성화지도 구축의 필요성에는 이견이 없지만 제공되는 정보의 양과 신뢰성 확보가 성패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지적했다. 박진배 연세대 산학협력단장 역시 “제공되는 정보의 신속한 업데이트와 신뢰성을 보장하는 방안이 제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임창빈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팀장은 “대학특성화지표에 따른 주요 정보 외에 수요자별 특화정보와 타 대학과 역량을 비교할 수 있는 2차 자료 등을 가공해 제공할 예정”이라며 “정책연구가 끝나면 기본 틀에 맞춰 특성화 현황을 다시 조사하고, 자료집 형태로 대학과 기업체, 관련 부처에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