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한국연구재단, ‘2021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발표
신규형에 대전·세종·충남, 전환형에 울산·경남 플랫폼
사업선정 ‘단일형’ 제외로…신규형에 단 두곳 지원

(사진 = 교육부)
(사진 = 교육부)

[한국대학신문 이하은 기자] 지역혁신 사업 신규형에 대전·세종·충남 플랫폼, 전환형에 울산·경남 플랫폼이 선정됐다. 사업 선정방식 변경으로 애초에 신청한 지자체가 두 곳에 그쳐 지역균형발전 취지와 동떨어졌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을 발표했다. 이 사업은 올해 2439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으로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자체와 지역대학이 협업체계로 ‘지역인재 양성-취·창업-정주’의 선순환 구축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2020년 3개 플랫폼(경남, 충북, 광주·전남)을 선정한 이후 성과 확산을 위해 올해 신규·전환형 각 1개를 선정했다. 이로써 광주·전남, 충북, 대전·세종·충남(신규), 울산·경남(전환형) 총 8개 지자체를 지원한다. 

신규 선정된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 플랫폼은 권역 내 24개 대학, 68개 지역혁신기관이 참여해 ‘미래 이동수단(모빌리티)’ 혁신 생태계 조성에 역량을 집중한다. ‘소재·부품·장비’ ‘정보통신기술(ICT)’을 핵심분야로 선정했다.

충남대가 총괄대학, 공주대가 중심대학을 맡으며 △순천향대 △한국기술교육대 △한밭대 △선문대 △고려대(세종) △건양대 △나사렛대 △남서울대 △대전대 △대전보건대 △목원대 △배재대 △백석대 △신성대 △아주자동차대 △우송대 △우송정보대 △충남도립대 △한국영상대 △한남대 △한서대 △호서대 등 총 24개 대학이 사업에 참여한다.

특히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 등 기술개발·연구 기반, 충남은 제조업 역량, 세종은 자율주행실증특구 등 실증기술·환경을 보유하고 있어 복수형 연합을 통해 해당 지역에 부족한 핵심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이라는 전망이 신규 선정의 요인으로 꼽혔다. 

이 플랫폼은 권역 내 24개 대학이 역할을 분담하고 강점을 결집해 연 3000명의 핵심분야 인재양성체계를 구축하고 이 중 연 400명의 핵심인재를 ‘대전·세종·충남 공유대학’을 통해 배출할 계획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세종시에서 추진 중인 ‘세종 공동캠퍼스(충남대·공주대·한밭대 등 입주)’ 및 ‘인공지능(AI)공유대학’과 연계해 향후 교육·연구·창업 등을 위한 시설·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공유대학의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가능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 대전도심융합특구, 세종스마트시티, 천안스타트업파크 등 다양한 지자체의 자원 및 사업과 연계해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청년들의 취·창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사진 = 교육부)

전환형으로는 울산·경남 지역혁신 플랫폼이 선정됐다. ‘경남 지역혁신 플랫폼’은 2020년 단일형으로 선정돼 해당 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2차 연도부터 울산과 연합해 권역 내 17개 대학, 46개 지역혁신기관이 참여하는 복수형 플랫폼으로 전환된다. 

교육부는“울산·경남 플랫폼은 두 지자체의 지리적 인접성이나 중점산업분야 간 연계성의 측면에서 볼 때 공동의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동반 상승효과를 창출할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며“울산은 핵심분야 산업기반은 갖춰져 있으나 지역 내 고등교육기관이 5개에 불과해 경남과의 협업을 통해 부족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경상국립대가 총괄대학의 역할을 수행하며 경남대, 창원대, 울산대가 중심대학을 맡는다. 단일형에서 복수형 전환을 통해 울산대를 비롯해 울산과학대, 울산과기원, 한국폴리텍대 울산캠퍼스,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 등 5개 대학이 추가로 참여하게 됐다. 
 
이 플랫폼은 기존 핵심분야(제조엔지니어링, 제조정보통신기술(ICT), 스마트공동체)에 ‘미래 이동수단(모빌리티)’ ‘저탄소그린에너지’를 추가해 총 5개의 핵심분야를 설정했다. 이를 통해 지역인재의 교육 및 취업 기회가 확대되고 기업 등 지역혁신기관의 인재 확보 가능성 및 기술개발 등 협력 범위가 확대돼 지역혁신의 저변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경남형 공유대학(USG)은 울산·경남형 공유대학(USGU ; University System of Gyeongnam and Ulsan)으로 개편된다. 기존 3개 분야 6개 전공을 5개 분야 8개 전공으로 확대하고 정원을 기존 300명에서 5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해당 전공은 기계설계해석, 전기이동수단(E-mobility), 지능로봇, 스마트제조정보통신기술(ICT), 스마트도시건설, 공동체혁신, 미래이동수단(선박, 개인용 비행체 등), 저탄소그린에너지 등이다.

이번 신규형 선정에는 단 두 개 플랫폼이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로 대전·세종·충남 플랫폼과 경북·대구 플랫폼이다. 지난해 첫 사업 공모 당시 14개 모든 지자체가 지원장을 내민 것과는 대조적이라는 평이다. 

이는 지원 요건이 변경된 탓이다. 올해 사업에는 ‘단일형’을 제외하고 ‘복수형’만 선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광역시가 없는 강원·전북·제주는 지원조차 할 수 없게 됐다. 신규 지원이 가능한 플랫폼은 ‘대전·세종·충남’ ‘경북·대구’ ‘부산·울산’ 등 단 세 곳으로 좁혀졌으며 울산이 경남과 플랫폼을 이루면서 단 두 곳만이 신규형에 지원하게 된 것이다. 

지난해 3개 플랫폼을 지정한 것과 대조적으로 올해 1개 플랫폼 추가로 그친 데 대한 아쉬움도 나온다. 기존 플랫폼을 계속 지원하는데 1080억 원을 투입하지만 신규 플랫폼에 480억 원, 전환형에 150억 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데 그쳐 더욱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예산심사 당시 국회에서도 ‘국가균형발전이란 목적과 동떨어진다’며 유형구분 없이 모든 지자체가 지원할 수 있도록 사업을 개편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그러나 결국 정부 원안대로 확정되면서 일부 지역이 사업에서 배제됐다. 

특히 지원조차 못한 대학에서 불만이 나오고 있다. 한 지역 대학의 기획처장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시작한 사업인데도 지역 내에서 소위 ‘잘나가는 곳’을 우선 지원하겠다는 것”이라며 “이는 사업 취지에 역행하는 것이며 광역시가 없는 지역의 소멸은 가속화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