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정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위원회 위원장(한양대 교수) ‘2021 전문대 UCN 프레지던트 서밋’ 4차 콘퍼런스 주제발표
‘K-EDU 직업교육의 세계화 : 우수 고등직업교육 해외 진출’ 강연서 전문대 국제화 방향 제언

이기정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위원회 위원장(한양대 교수)이 20일 한국영상대에서 열린 ‘2021 전문대 UCN 프레지던트 서밋’ 4차 콘퍼런스에 참석해 전문대의 국제화 전략을 제안했다. (사진=한명섭 기자)
이기정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위원회 위원장(한양대 교수)이 20일 한국영상대에서 열린 ‘2021 전문대 UCN 프레지던트 서밋’ 4차 콘퍼런스에 참석해 전문대의 국제화 전략을 제안했다. (사진=한명섭 기자)

[한국대학신문 허지은 기자] 전문대가 국제화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 소비자층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전문가 조언이 나왔다. 기존의 정부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새로운 제안을 통해 전문대 지원 정책을 확대하거나 새롭게 발굴하는 능동적 태도도 강조됐다.

이 위원장은 20일 한국영상대학교에서 열린 ‘2021 전문대 UCN 프레지던트 서밋 4차 콘퍼런스’에 참석해 전문대의 해외진출 전략을 제언했다.

먼저 이 위원장은 현재 전문대의 상황에서는 캠퍼스 설립 형태의 해외진출 방법은 용이하지 않다고 진단했다. 이 위원장은 “법인회계 규모가 미미한 전문대의 경우 현실적으로 캠퍼스 형태로 해외진출을 추진하긴 어렵다”며 “현행법상 국내대학이 캠퍼스 형태로 해외진출을 할 경우 캠퍼스를 설립할 재원은 법인회계로 한정돼 있다. 그러나 2019년 기준 전문대의 법인회계 재정규모는 약 4600억 원으로 5조 2800억 원 규모의 일반대 법인회계의 8.7%인 미미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외국인 유학생 수와 교비회계의 확대는 큰 상관관계가 있다. 전문대만 봐도 교비회계가 늘어나는 대학의 경우 외국인 유학생 수도 늘어났다”며 “대학 재정을 늘리기 위해서도 외국인 유학생 모집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런 전문대의 현 상황에서 이 위원장은 외국인 유학생 모집에서도 타깃 연령층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평생직업교육 차원에서 전문대가 학령인구 외의 성인학습자까지 대학 교육의 수요자를 넓혔듯 유학생 모집에서도 같은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위원장은 “외국인 유학생 모집에서도 소비자 다각화를 위해 18세에서 24세 사이 학령인구만이 아닌 그 이상의 학습자도 고려해야 한다. 일본 와세다 대학에는 73세 고령의 재학생이 있다. 교환학생으로 와세다에 재학하고 있다”며 “전문화된 직업교육을 하면서 수업연한이 짧은 전문대가 외국인 성인학습자 모집 전략을 고민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대에서는 유학생 출신 지역을 다각화 하는 전략도 유효할 것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이 위원장은 “2020년 국내 외국인 유학생 중 44%가 중국학생인 데 반해 전문대 외국인 유학생 수를 보면 중국 유학생보다 베트남 유학생 숫자가 많다”며 “베트남뿐 아니라 우즈베키스탄, 네발, 몽골, 미얀마 학생도 전문대에 많이 오고 있다. 이들 국가 유학생 모집에 전문대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이 이날 발표에서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국내 전문대 외국인 유학생 수는 1만 2070명으로 이 중 7410명이 베트남 출신 유학생이었다. 중국 출신 유학생이 1479명, 우즈베키스탄 출신은 1010명, 네팔 출신은 609명 등이었다.

또한 이 위원장은 전문대 트랙이 신설된 교육부 ‘국제협력선도대학 육성 지원사업’과 같은 교육 ODA 사업이나 국립국제교육원의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 전문학사과정, 외국인 우수자비 유학생 지원은 물론 한국국제협력사업단(KOICA)의 사업 중에서도 민관협력사업, 국제협력 고등교육사업, 직업기술교육훈련사업 등 정부 지원 사업을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올해 처음 전문대에 국제협력선도대학 사업을 모집했는데 기대와 달리 지원 대학 수가 무척 적었다. 이런 좋은 프로그램이 있음에도 활용이 잘 되지 않은 것”이라며 “전문대를 위한 정부의 국제화 지원 사업이 늘어나고 있고 앞으로 더 늘어날 예정이다. 이를 활용해 대학 국제화의 마중물로 활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대학 국제화 지원 정책에 있어 전문대의 능동적인 자세를 요구하기도 했다. 전문대의 특성을 살려 정부 재정지원사업을 신설하거나 기존 사업의 애로점을 완화하는 등 국제화 지원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의 경우 아직 국제화 분야 사업이 없다. 하지만 대학이 여기 관심을 갖고 지자체와 협업해 국제화 부문을 개척해 제안한다면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몇몇 전문대가 참여하고 있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뿌리산업 외국인 기술인력 양성대학 사업의 경우 애로사항이 많다고 들었다. 사업을 좀 더 용이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장벽을 낮춰달라는 요청을 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