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국민대의 김 여사 논문 조사 결과가 나온 후 국민대를 비판하는 단체들이 행진하는 모습. (사진= 한국대학신문 DB)
지난 8월 국민대의 김 여사 논문 조사 결과가 나온 후 국민대 민주동문회와 국민대 동문 비대위가 학교를 비판하며 행진하는 모습. (사진= 한국대학신문 DB)

[한국대학신문 장혜승 기자] 그야말로 모든 이슈를 집어삼킨 ‘블랙홀’이었다. 지난해 7월 처음 제기된 김건희 여사의 논문 표절 논란은 2022년 한국 사회를 뒤흔들었다. 

발단은 국민대의 김 여사 논문 조사 결과 발표였다. 국민대는 지난 8월 김 여사의 박사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 2편 등 총 3편에 대해 “‘표절’에 해당하거나, 학문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용인되는 범위를 심각하게 벗어날 정도의 연구부정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나머지 논문 1편은 “연구부정행위를 검증하는 것이 불가능해 검증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했다.

학계는 즉각 반발했다. 전국 14개 교수연구자단체로 구성된 범학계 국민 검증단(이하 검증단)은 지난 9월 김 여사의 모든 논문이 지식거래 사이트와 블로그 등의 자료를 인용 없이 그대로 복사해 붙여넣은 표절의 집합체라는 자체 조사 결과를 내놨다. 상식을 벗어난 논문 수준을 근거로 논문 대필 의혹도 제기됐다.

정치권에서도 정쟁으로 진화했다. 지난 10월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의 종합 국정감사장에서 김건희 여사의 논문표절 의혹에 대한 핵심 증인들로 임홍재 국민대 총장과 장윤금 숙명여대 총장이 출석했다. 임 총장과 장 총장은 야당 의원들의 질의에 대해 대부분 모르쇠 또는 밝힐 수 없다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국정감사 처음부터 끝까지 여야는 김 여사 논문 표절 의혹을 놓고 맞붙었다. 이 과정에서 검증단 소속 교수의 논문 표절 동명이인 착오 문제로 의원들 간 막말이 이어지다 국감이 파행되는 사태가 발생하는 등 반쪽짜리 국감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피하지 못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