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농업과학기술중장기 연구개발 계획 “지속가능한 산업기반 강화”

[한국대학신문 김정현 기자] 농업 분야 국가연구개발(R&D)도 정보통신기술(ICT)이 부상하는 모습이다. 지난 5년간 새로운 농작물 신품종 개발에 주력했던 정부가 향후 10년간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해 생산성을 향상하는 스마트팜 등 기반기술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5일 7차 농업과학기술 중장기 연구개발 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오는 2027년까지 10년간 농업분야 정부 연구개발의 투자 방향이다. 농업의 지속성장과 혁신성장이 강조됐다. 자유무역협정(FTA)이 화두였던 지난 2013년 수립한 계획에서는 식량안보와 생명공학(Bio) 기반 성장 동력 강화가 주제였다.

기후변화, 개방 확대에 대응하는 농산물 수급 안정과 먹거리 불안 해소를 정부는 현안으로 진단했다. 먼저 예측할 수 없는 재해를 사전에 진단하고, 농산물의 생산성이 급변하는 것을 대응하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한다. 현재는 10개 시군에만 제공되는 기술을 10년 안에 확대 보급하겠다는 것.

농민들의 편리함을 위해 개발된 한국형 스마트팜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도록 발전시킨다. 올해 생산성을 강화하는 ‘2세대’ 스마트팜을 개발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2020년에는 수출형 기술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R&D에 이어 생산ㆍ가공ㆍ수출까지 모두 연계되는 현장 맞춤형 기술을 개발한다.

기계를 쓰는 밭의 비율을 의미하는 밭농업기계화율도 지난해 58.3%에 머무르던 것을 2022년 75%, 2027년 80%까지 확대한다. 10년 뒤에는 80%의 밭에서 로봇과 기계가 농사를 짓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4000헥타르인 ‘스마트온실’도 1만헥타르까지 보급을 확대한다.

또 우리 농업이 지속가능하도록 친환경생태 농업기술과 농가별 맞춤형 작물보호 기술을 개발한다. 농업환경지표를 개발하고, 농약을 미생물이나 해충의 천적으로 대체하는 친환경 방제 기술 개발에도 투자한다. 자급률 안정을 위해 지금껏 투자해 왔던 품종 개발도 지속 투자한다.

국가균형발전의 취지에서 농‧생명 클러스터(단지)를 육성하는 혁신도시도 추진한다. 이곳에서 산업화 플랫폼을 구축해 유망한 농생명 기업 400개를 육성한다는 목표다. 전북 혁신도시에서는 기관끼리의 협력을 통해 융‧복합 지식기반 서비스를 창출한다. 20개 품목별 수출협의체, 지역특화작목연구소 42개 등에 대한 투자도 확대해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다.

이 밖에 채소, 과수, 화훼 등 고부가가치 품종을 육성하고, 수출을 확대토록 저장, 유통기술을 개발한다. 축산분야 생산성 향상과 가축개량 효율화, 질병예방을 통한 바이오신약 개발에도 투자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