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청 교수 “대학교육에 급격한 변화…대교협 혁신 선도 역할 필요”
백정하 소장 “ 새 정부, 재정 확충·규제 완화 등 목소리 기울여야”

대교협 창립 40주년을 맞아 열린 대학교육 정책 포럼에서 홍원화 대교협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한명섭 기자)
대교협 창립 40주년을 맞아 열린 대학교육 정책 포럼에서 홍원화 대교협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한명섭 기자)

[한국대학신문 이지희 기자]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거쳐 급변하고 있는 고등교육 생태계 속에서 대학은 변화의 기로에 섰다. 대학 현장의 대변인으로 기능해 온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의 향후 역할에도 새로운 주문이 쏟아지고 있다.

대교협은 40주년을 기념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제67회 대학교육 정책 포럼’을 10일 한양대에서 개최했다. 이날 홍원화 대교협 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이현청 한양대 석좌교수(전 대교협 사무총장)과 백정하 대교협 고등교육연구소 소장의 기조강연과 발제가 이어졌다.

홍원화 회장은 “대학이 비록 어려움에 처해 있지만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해 고등교육의 발전을 도모하고 국가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때”라며 “대교협도 대학과 정부, 언론, 기업체가 합심해 대학 발전과 진흥에 필요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현청 교수는 ‘한국 대학의 새로운 도전과 대교협의 역할’이란 주제로 포럼의 포문을 열었다. 이 교수는 한국대학의 과거와 현재를 짚어보고 한국 대학이 △Job Nomad △Learning Nomad △Degree Nomad라는 도전에 직면했다고 분석했다. 대학인구 생태계와 직업 생태계의 변화,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 코로나, 대학 간 협력 공유 체계 등 대학을 둘러싼 환경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현재의 대학 교육이 2~4년제의 정해진 학제에서 정해진 전공과목을 수강하는 방식이라면 미래 대학은 마이크로 디그리, 나노 디그리 형태의 3~4개월 단기 훈련 방식으로 학제의 변화가 이뤄지고 지금보다 다양한 방식의 수업이 이뤄진다고도 전망했다. 또한 코로나19로 이미 경험한 플립러닝과 블렌디드 러닝이 보다 자유롭게 활용되며 전공중심의 폐쇄적인 학제는 융합전공과 통합전공 형태의 초학제적 변화를 맞이하게 될 전망이다.

이현청 교수는 이 같은 급격한 변화 속에서 대교협의 역할 역시 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대교협의 대학 간 이해상충 조정, 자율협의회와 산하기간 간의 정체성 갈등, 예산 종속과 예산독립 등의 고민 속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대교협이 고등교육 플랫폼 허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조정자, 촉매자, 창조자, 협력자로서의 역할이 필요하지만 예산, 인력, 법제 등 현실적인 난관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현청 교수는 “대학 교육에 대한 철학이 재정립되고 있다”면서 “대학환경 변화와 시대적 요청에 적극 부응해 대학 지원협의와 혁신을 위한 선도적 역할을 대교협이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4차 산업사회의 학습허브 체제 △공인된 질적·전문적 대학 평가 관리 기구 △대학 발전을 저해하는 정치적 요인에 대한 합법적 보호 대처기구로서의 역할 △정부의 거버넌스에 주도적 참여 △대교협 기본 운영비 법제화 △대학 현장 견해 반영 노력 등을 향후 대교협의 과제로 제안했다.

백정하 소장은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 과제와 대학의 의견’을 주제로 주제발표에 나섰다.

특히 윤석열 정부의 고등교육 국정과제인 100만 디지털인재 양성, 모두를 인재로 양성하는 학습혁명, 더 큰 대학자율로 역동적 혁신 허브 구축, 지방대학 시대, 지방교육 및 인적자원 양성체계 개편 등의 내용이 대학발전에 어느 정도 기여할 것인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대학 현장의 의견을 제시했다.

국정과제 응답자의 반응을 종합하면 평가제도와 재정지원방식의 개선, 대학평가 개편,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지원 확대 등 대체로 규제 개혁과 재정 확충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디지털 인재양성이나 융합인재 양성과 같은 미래 시대를 대비한 인력 확보 등의 기대도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새 정부에서 대학발전을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할 정책으로 △등록금 현실화와 고등교육 재원 확보 △획일화 된 대학평가 지표 개선 △특수대학이나 소규모 대학에 대한 구체적 정책 △대학의 자율화 △수익사업의 규제 완화 △지역대학 활성화 등을 촉구했다.

대교협의 역할도 이와 맥락을 같이한다. 응답자들은 대교협에 대학 발전을 위한 대정부·국회에 지속적 정책 건의, 대학 현안에 대한 연구 기능 강화, 대학의 유형과 규모에 따른 지원 방안 다각화, 대학 현장 의견 소통 창구 다양화 등을 주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