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년간 동결된 등록금, 학령인구 감소, 코로나19 등 대학 둘러싼 환경 악화
2023학년도 정시 경쟁률 ‘3대 1 미만’ 대학은 59곳(86.8%) “이대론 다 죽어”
‘대학 간 통폐합’ 고민 중인 대학들 부쩍 늘어…“더 이상 지방대만의 문제 아냐”
교육부 「대학설립·운영규정」 손봐…규제 개선·완화 통해 대학 간 통합 지원 나서

통합을 앞두고 한경국립대학교로 교명 변경을 확정 지은 한경대(왼쪽)와 한국복지대(오른쪽) 전경
통합을 앞두고 한경국립대학교로 교명 변경을 확정 지은 한경대(왼쪽)와 한국복지대(오른쪽) 전경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2023년은 고등교육 분야에서 지각변동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출범한 윤석열 정부는 집권 2년 차를 맞아 본격적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고, 10년 만에 교육부 수장으로 돌아온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교육계의 다양한 변화를 예고한 바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부총리는 업무 분석이 끝난 지난해 12월부터 교육계에 산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각종 개선·개편안을 발표하는 등 분주한 모습이다. 특히 「대학 설립·운영규정」에서 정한 4대 요건을 개편하고, ‘대학기본역량진단’을 폐지하는 등 그간 대학을 옭아매고 있던 규제가 하나둘씩 풀릴 기미가 보이면서 대학가는 반색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규제 완화는 이제 시작이다. 2023년은 규제 개혁의 원년이 될 것인가, 아니면 미풍에 그칠 것인가. 본지는 올 한해 주목해야 할 대학가 이슈를 정리해봤다. <편집자주>

■ 학령인구 절벽 위기 등 대학가 환경 ‘나날이 악화’…자구책 마련에 고심 = 대학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은 나날이 악화되고 있다. 4년째 이어지는 코로나19, 14년간 동결된 등록금, 초·중등교육에 편중된 공교육비, 학령인구 감소,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인한 지방 소멸 위기 등 대학 입장에서는 반가운 소식보다는 암울한 소식이 더 많은 상황이다.

실제로 지방에 위치한 대학들이 파산·폐교하면서 지역사회가 동반 소멸할 수 있다는 전망이 커지고 있다. 지방에서는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면서 신입생 미충원을 비롯해 비인기 학과 통폐합, 재정 한계 등 각종 한계에 직면하는 대학들이 증가하는 모양새다.

앞서 대학들은 2021년 이미 최악의 미충원 사태를 겪었다. 2021학년도 대입에서 전체 대학·전문대학의 신입생 충원율은 91.4%를 기록했다. 일반대학의 미충원 규모는 1만 6396명, 전문대학은 2만 4190명으로, 총 4만 586명의 신입생을 충원하지 못했다.

최근 종로학원이 전국 193개 4년제 대학 2023학년도 정시 모집 경쟁률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실상 미달로 간주되는 경쟁률 ‘3대 1 미만’ 대학은 59곳(86.8%)이 지방권 대학이었다. 지난해 64곳보다는 줄었지만 비율은 지난해 83.1%보다 상승했다.

문제는 내년 2024학년도 입시는 더욱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2022년 기준 고3 학생은 43만 1000여 명이었지만, 2023년 고3 학생은 40만 3천여 명으로 1년 사이 2만 7천여 명(약 6.3%) 감소할 예정이다.

이에 대학들은 자구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가장 손쉬운 방법은 타 대학과의 통합으로, 이미 몇몇 대학들은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대학으로는 한경대와 한국복지대가 통합해 오는 3월 문을 여는 한경국립대를 들 수 있다.

■ “더 이상 대학만의 문제 아냐”…분주해진 지자체·대학들 = 통합을 위한 움직임은 대학뿐만 아니라 지자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지역 소멸 위기에 처한 지자체들도 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기 때문이다. 지난달 10일 문경시와 문경시의회, 숭실대문경캠퍼스 유치추진위원회는 ‘숭실대학교 문경캠퍼스 설립·문경대 통합 동의 확약식’을 가졌다. 문경대 관계자는 “숭실대와 통합이 성사되면 위기의 돌파구가 될 것”이라며 “통합을 위해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수도권 대학들도 통합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다. 한경대와 한국복지대는 지난해 통합을 진행해 교육부의 승인까지 마친 상황이다. 두 대학은 모두 국립대로 통합 신청서 제출 후 국립대학 통폐합심사위원회 심의를 9차례나 진행하는 등 진통 끝에 통합이 승인됐다. 오는 3월부터 ‘한경국립대’로 첫 신입생을 받을 예정이다.

지난달 28일 이진숙 충남대 총장(왼쪽)과 오용준 한밭대 총장(오른쪽)이 통합 논의 선언문에 서명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이진숙 충남대 총장(왼쪽)과 오용준 한밭대 총장(오른쪽)이 통합 논의 선언문에 서명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국립대+국립대, 같은 학교법인 대학 등 주체는 달라도 “뭉쳐야 산다” = 수도권과 가까워 신입생 충원에 그나마 안전지대로 여겨지던 대전·충청지역도 통폐합 움직임에 동조하는 모양새다.

대전을 대표하는 국립대인 충남대학교와 한밭대학교는 지난달 28일 ‘통합 논의 공동 선포식’을 가졌다.

이진숙 충남대 총장은 “대학 간 통합은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지역을 넘어 세계 최고 국립대로 성장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이며 구체적인 방법”이라고 당위성을 설명했다. 오용준 한밭대 총장은 “통합 논의는 지역 균형발전을 견인할 최고의 인재를 두 국립대가 힘을 합쳐 기르자는 다짐이자 미래형 국립대의 새로운 틀을 만들자는 결의”라고 강조했다.

두 대학은 올해 상반기까지 ‘(가칭)대학통합 공동협의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대학 간 실무회의와 공동 용역, 학내 구성원 공론화 과정 등을 거쳐 최종 통합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교육부에 통합신청을 하면 통폐합심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승인을 받게 된다.

두 대학의 통합이 이뤄지면 산술적으로 학부 재학생 수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2만 6459명이고, 전임교원 수는 부산대와 경북대와 비슷한 1194명에 달한다.

부산교육대학교 또한 부산대학교와 통합을 위한 설문조사와 교수회의를 진행하는 등 의견 수렴 절차에 돌입했다. 같은 학교법인의 두 대학이 통합에 나서는 경우도 있다. 학교법인 원석학원은 경주대학교와 서라벌대학교가 통폐합을 진행 중이며, 학교법인 고운학원은 수원대학교와 수원과학대학교의 통합계획서를 지난 9월 교육부에 제출했다.

■ 대학 존립 위기에 규제 완화 나서는 교육부 = 교육부는 지난달 29일 대학 운영 시 4대 요건, 통폐합 기준, 소유 원칙 등을 완화하는 내용이 담긴 「대학설립·운영규정」 전부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번 개정안은 설립 후 운영 중인 대학에 대해서는 4대 요건을 완화해 적용하고, 일부 학과의 새로운 캠퍼스로의 이전이 용이하도록 개선했다. 또한 대학 간 자발적인 통·폐합 촉진을 위해 통·폐합 시 일률적인 정원 감축 의무를 삭제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 대학설립‧운영규정」 개정으로 대학이 학령인구 감소, 디지털 전환 등 시대·사회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이번 「대학설립‧운영규정」 전면 개정을 시작으로 대학의 자율적 혁신에 걸림돌이 되는 현장의 규제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규제개혁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