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LiFE 2.0 기본계획 발표…사업예산·학교당 지원예산 대폭 늘어
전문대학 20개교 선발…7개교 참여했던 1주기 사업보다 약 3배 껑충
사업 참여신청, 4월 28일까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사업계획서 제출
RISE 사업 시범지역 소속 대학에 가점 부여하고 대학·지역 연계에 박차

LiFE 2.0 사업에 예비신청한 대학 집계표. 본 신청은 예비신청과 관계없이 4월 28일까지 접수한다. (표=국가평생교육진흥원)
LiFE 2.0 사업에 예비신청한 대학 집계표. 본 신청은 예비신청과 관계없이 4월 28일까지 접수한다. (표=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한국대학신문 우지수 기자] 교육부의 대학 재정지원사업 ‘2주기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2.0)’의 기본계획이 지난달 공개됐다. 2주기 사업은 1주기 사업보다 2배 가까이 확대된 규모로 운영되며 특히 전문대학의 참여 규모가 7개교에서 20개교로 3배 가까이 늘어난 점이 눈에 띄었다.

11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2월 LiFE 2.0 사업의 선정·심사·평가 기준을 담은 기본계획을 발표했고 총 95개 대학이 사업 예비신청안을 제출했다. 이 중 사업에 신규 참여를 원한 예비신청 대학은 일반대 18개교, 전문대 46개교로 전문대학가의 관심이 크게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2주기 사업에서 계획된 예산은 총 510억 원으로, 240억 원 규모로 운영됐던 1주기 사업보다 2배 이상 증가했고, 학교별 지원 예산 역시 학교당 7억8000만 원에서 10억 원으로 늘었다. 이번 LiFE 2.0 사업의 확대는 대학의 지방 평생교육 거점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정부의 정책 의사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LiFE 2.0 사업은 평생교육 시스템을 아직 구축하지 못한 대학이 참여하는 ‘평생교육체제 구축형(1유형, 일반대 8개교, 전문대 12개교)’과 구축이 완료된 대학이 참여하는 ‘평생교육체제 고도화형(2유형, 일반대 12개교, 전문대 8개교)’을 위주로 모집하며 광역지자체와 함께 평생교육체제를 만들어나가는 ‘광역지자체 연계형(3유형)’이 추가유형으로 구성됐다.

대학 상황에 맞춰 구축형과 고도화형 중 1개 유형을 선택해 지원할 수 있고, 일반대의 경우 컨소시엄을 구성해 광역지자체 연계형에 복수지원할 수 있다. 다만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미참여 대학과 2023년 재정지원제한 대학은 신청이 제한된다.

구축형 유형은 성인학습자 과정을 운영하는 단과대학·학부·학과의 신설 계획안을 교육부로 제출하는 사업계획에 반드시 명시해야 하며 광역지자체 유형에서는 지역 수요를 반영해야 한다. 기존에 운영하던 학제를 확대하는 계획은 고도화형에서만 활용할 수 있다.

LiFE 2.0 사업계획의 공통 과제는 △대학 내 평생교육 운영체제 구축 △성인친화적 교육과정·학사운영 확산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이다. 기본계획은 평생교육 학위과정 운영과 성인학습자 전담 전임교수 배치, 관련 학습지원센터 운영을 규정한다. 또 재직자와 성인학습자의 지역 여건을 고려해 입학·졸업규정을 유연화하도록 권장한다. 각 대학의 계획, 평가·환류 결과 등을 공개해 대학과 지자체의 협력, 참여 대학 간의 협력도 강조한다.

사업선정을 위한 계획안 평가는 대학의 평생교육 역량을 확인할 정량지표와 컨소시엄의 사업 수행 의지·계획 등을 평가하는 정성지표를 기준으로 삼는다. 평가 배점 상세 항목에서는 ‘지역사회 발전과 연계한 대학 평생교육체제 마련 계획의 적정성 및 실현가능성’과 ‘지역인재양성 계획 및 지역 정주형 취·창업 지원 계획’이 100점 중 각 20점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RISE 사업 시범지역에 속한 대학은 최대 3점의 가점이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사업 신청 기한은 이달 28일 오후 6시까지이며 5월까지 심의·면접을 완료한다. 교육부는 오는 6월 중 선정 결과를 발표하고 이후 예산 책정과 함께 본격적으로 LiFE 2.0 사업이 시작된다. 사업은 교육부가 총괄하고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관리·운영을 위탁해 진행한다. 사업 신청과 자세한 계획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LiFE 사업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