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들, 사회 초석 마련 VS 학생들, 실질 지원 요구 커

본지, 대학교수 1018명 대학생 1708명 긴급설문조사

[한국대학신문 윤지은 기자]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지 한달을 맞았다. 박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한국 경제의 질적 도약을 꾀하고 일자리 창출과 성장잠재력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창조경제’를 강조했다. 그러나 ‘창조경제’가 무엇이고 그 안에 무엇이 담겨야 하며 어떻게 구체적인 실현을 이끌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 누구도 명확한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정치계도 각 정부부처도 다르지 않다. 한국대학신문이 우리 사회를 이끄는 전문가 집단인 대학 교수 1017명과 미래 국가의 간성이 될 대학생 1708명에게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에 대해 질문을 던진 이유다. <편집자 주>

▲ 설문대상 : 전국 대학 교수 1017명 / 기간: 3월 15~20일
박근혜 정부가 국정목표로 내세운 ‘창조경제’ 추진을 위한 핵심전략으로 대학 교수들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신성장동력 강화’에 가장 큰 무게를 둬야 한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또 ‘창조경제’의 실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경제정책방안으로는 ‘융복합 과학기술의 발전’을 들었다. ‘창조경제’의 키워드 중 하나인 ‘정보통신기술(ICT)의 고도화를 위한 선제조건으로는 과학기술과 ICT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하나에 다른 하나가 흡수되는 형식이 아닌 완전한 융합이어야 한다’는 데 목소리를 높였다.

이는 한국대학신문이 전국 대학 교수 10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박근혜 정부 ‘창조경제’, 대학 교수에게 묻는다>라는 주제의 설문조사 결과다. 박 대통령이 언급한 ‘제2의 한강의 기적’을 이룩하기 위한 ‘창조경제’의 실천에 방향타가 될 수 있어 주목된다.

대학 교수들은 지난 1960년 이후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고도의 경제성장의 동인(動因)으로는 ‘수출 주도형 경제부흥정책’을 1순위로 꼽았으며 ‘새마을 운동’과 ‘경부고속도로의 건설 · 산업단지(공단)의 조성’ 등이 그 뒤를 이어 큰 역할을 했다고 인식했다.

한편 같은 조사를 대학생(캠퍼스 라이프 대학생 평가단) 17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창조경제’의 실현을 위한 경제정책방안으로 교수들이 ‘융복합 과학기술의 발전’을 꼽은 것과 달리 ‘중.소.벤처기업의 대폭적 지원’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교수들은 사회 경제적 토대나 초석 마련에, 학생들은 바로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직접 지원에 각각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이번 설문조사는 전국 국공사립 4년제 대학 및 전문대학 교수 1017명과 한국대학신문 캠퍼스 라이프 대학생 평가단 1708명을 대상으로 이메일과 온라인을 통해 이달 15일부터 20일까지 6일간 실시됐으며 최대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대학생 평가단은 ±2.4%P)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