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RIS,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디지털 배지 활성화 방안’ 주제 미래교육 포럼 개최
조용상 교수, “규제 중심 생태계 구성에서 벗어나 학교-민간-공공의 자연스러운 생태계 구성돼야”
노원석 대표, “디지털 배지, 글로벌 인재 육성 수단 가능” 디지털 인재 양성 관련 예산·인력 지원 당부

KERIS는 10일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디지털 배지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미래교육 포럼을 개최했다. (사진=KERIS 유튜브 생중계 캡쳐)

[한국대학신문 임지연 기자] 학생의 학문적 성취와 사회적 진출을 위한 역량·스킬을 갖추는 과정을 인증하는 수단인 ‘디지털 배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배지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디지털 배지가 신뢰성을 갖기 위한 생태계를 구성하고, 이를 관리·감독할 전담 기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용상 한국열린사이버대 교수는 10일 KERIS가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디지털 배지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개최한 미래교육 포럼에서 정부와 공공기관이 디지털 자격 증명 생태계 보증자 역할을 수행할 것을 제언했다.

조용상 교수는 ‘디지털 학습이력 인증(디지털 배지) 도입을 위한 표준안 도입 환경 분석’ 발제를 통해 “디지털 배지 활용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은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라며 “협의체를 통해 역량과 스킬 등을 정의할 수 있는 배지 기준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협의체는 배지의 신뢰성을 보증하는 보증인 역할도 할 수 있다”며 “배지 보증을 신뢰할 수 있게 해준다면 국내에서도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교수에 따르면, 현재 시중에 발급되는 자격증은 검증을 하려면 기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지만, 대부분 기준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배지는 투명하게 공개할 수 있기 때문에 다목적으로 배지를 설계하고, 정부와 공공기관에서 보증인 역할을 한다면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조 교수는 “디지털 배지를 구현하는 문서는 많지만, 문서만으로는 배지를 구현하기 힘들다”며 “협의체를 구성해 구현 가이드 및 튜토리얼, 모범 사례 등을 제공, 표준 체계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 교수는 생태계 구성 저해요인으로 ‘규제 중심의 생태계 구성’을 들었다. 조 교수는 “해외의 경우 공공이나 정부의 기능이 촉진 기능 외에는 없다”며 “우리가 성공적인 생태계를 경험하지 못하는 것은 인위적으로 생태계를 구성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학교-민간-공공이 자연스럽게 생태계를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용상 한국열린사이버대 교수가 국내 배지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KERIS 유튜브 생중계 캡쳐)

노원석 레코스 대표 역시 배지 발급자 및 취득자, 배지 검증 등을 제공하는 전담기관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노 대표는 “교육부, 과기정통부 등에서 디지털 배지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배지 생태계가 풍부해지는 것”이라며 “새로운 플랫폼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존하는 생태계를 연결하고, 연동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노 대표는 “디지털(오픈) 배지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오픈 배지는 국제표준학습규격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신뢰성을 갖고 있으며, 오픈 배지 보유자의 기술 지식 파악이 쉬워 팀 구성에 용이하다. 국내뿐 아니라 해외 기업 및 교육과도 연계 가능해 글로벌 인재 육성도 가능하다. 레코스 오픈 배지를 활용하는 대학의 수는 115개대에서 150개대로 확대되는 등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 전망했다.

정부에 디지털 인재 양성 관련 예산·인력 지원도 당부했다. 노 대표는 “디지털 배지 생태계를 구성하는 데 학교의 예산과 담당자 부재 문제가 있다”며 “해당 문제를 보완한다면 디지털 배지 생태계 구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