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글로컬대학위원회 13일 글로컬대학 최종 선정 대학 명단 10개교 발표
국공립 7곳, 사립 3곳…강원·경북 2곳씩, 경남·부산·울산·전북·전남·충북 1곳씩
전문대 유일 ‘경북도립대’ 안동대와 통합 계획으로 선정…1년 내 통합 밟아야
“대학별 규모 무시한 채 동일선상 경쟁은 불합리…특성별 혁신대학 선정해야”

경북도립대 전경 (사진=한국대학신문DB)
경북도립대 전경 (사진=한국대학신문DB)

[한국대학신문 김의진 기자] 교육부가 13일 글로컬대학 본지정 결과를 발표했다. 그간 교육계에서 큰 관심을 받은 사업이었던 만큼 대학 현장에서도 결과 발표와 관련해 다양한 의견들이 나오는 상황이다. 특히 전문대학가에서는 경북도립대가 전문대로선 유일하게 선정됐지만, 이마저도 국립대와 통합하는 조건이라며 사실상 전문대는 전멸했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고등직업교육 분야를 혁신할 글로컬대학이 향후 정책적으로 고려돼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14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와 글로컬대학위원회는 지난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글로컬대학 본지정(최종 선정) 대학으로 총 10곳을 발표했다. 이번에 선정된 대학은 △강원대·강릉원주대 △부산대·부산교대 △안동대·경북도립대 △충북대·한국교통대 △경상국립대 △순천대 △울산대 △전북대 △포항공대(포스텍) △한림대 등이다. 예비 지정 명단에 들었던 △순천향대 △연세대 미래캠퍼스(원주) △인제대 △전남대 △한동대 등 5개 대학은 탈락했다.

선정된 대학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국공립대는 강원대(강릉원주대), 부산대(부산교대), 안동대(경북도립대), 충북대(한국교통대), 경상국립대, 순천대, 전북대 등 7개교다. 사립대는 울산대, 포항공대, 한림대 등 3곳이다.

지역별로 보면 강원(강원대·강릉원주대, 한림대)과 경북(안동대·경북도립대, 포항공대)이 각각 2곳씩 선정됐다. 경남(경상국립대), 부산(부산대·부산교대), 울산(울산대), 전북(전북대), 전남(순천대), 충북(충북대·한국교통대) 등에서도 각각 1곳씩 글로컬대학이 나왔다. 반면 광주와 대구, 대전, 제주, 충남 등에서는 선정 대학을 내지 못했다. 서울과 인천, 경기는 이번 사업이 비수도권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경합하지 않았다.

일반대와 전문대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보면 사실상 모두 일반대로 채워졌다. 공립 전문대인 경북도립대가 전문대로선 유일하게 글로컬대학 최종 명단에 포함되긴 했지만, 안동대와 통합하는 안을 제출했다는 점에서 향후 국립 일반대로 통폐합 전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대학 간 통합을 전제로 선정된 대학은 1년 이내로 교육부에 통합 신청서를 제출하는 등 신속하게 절차를 추진해야 한다.

앞서 안동대·경북도립대는 글로컬대학 사업계획을 밝히면서 지역 내 국립대(안동대)와 공립대(경북도립대)를 통합하는 안을 교육부에 제출한 바 있다. 국공립대를 통합해 ‘K-인문 세계 중심 공공형 대학’으로 대표되는 전통문화 기반의 인문 특성화 세계적 대학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것이다. 경북도 내 교육·연구 기관 7곳을 통합해 공공형 대학으로 전환하고, 지역 유무형 자원을 활용해 인문학을 육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정태주 안동대 총장은 “국공립대 통합을 통해 경북 거점 국립대로 발돋움해 나갈 것”이라면서 “지역·대학 협력을 강화해 학령인구 감소와 디지털 중심의 사회구조 변화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밝혔다.

글로컬대학에 선정된 대학들에선 일제히 환영의 목소리가 잇따르지만, 사실상 단 한 곳도 선정되지 못한 전문대 사회에서는 아쉬움이 많을 수밖에 없다는 모양새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교육부에서 직업교육에 대한 혁신 의지가 약하다는 것을 증명한 셈”이라며 “전문대에 대한 홀대가 교육정책 설계나 사업 선정 과정에서도 그대로 작용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교육계에서는 일반대·전문대 간 설립이념과 교육목표가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만큼 기준을 세분화해 유형별 혁신을 선도할 대학을 선정하는 쪽으로 제도가 개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학문연구 중심대학뿐 아니라 산학협력 중점대학, 수익 창출 특화대학, 교육 중심대학, 직업교육 특성화 대학 등 부문별로 글로컬대학을 선정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부산권 한 대학 관계자는 “국공립대·대형사립대와 중소 규모 대학 간 규모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선상에서 비교·평가하는 것은 혁신이 아니라 교육격차만 더 벌리는 꼴”이라며 “담대한 혁신이라는 취지에 맞도록 정책이 추진되려면 분야별로 교육 특성화 기준을 세우고 이에 맞는 혁신대학을 선정해 지원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