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일하는 방식 전면 개선…‘코디자인(co-design)’ 역할 강조
국립대 사무국장, 지자체 협력관이나 산학협력 국장 파견 검토
교육 본질은 수업…에듀테크 통해 잠자는 교실 깨울 수 있을 것

(사진=교육부 제공)
(사진=교육부 제공)

[한국대학신문 김준환 기자] 이주호 신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대학이 지역 혁신성장의 허브 역할을 하고 신산업의 중심기관이 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교육부도 교육 현장의 파트너들과 당면한 교육 현안을 해결하는 수평적 파트너십 역량을 갖춰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주호 부총리는 7일 취임식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취임사에서 밝힌 지역대학의 허브 역할과 관련해 이 부총리는 대학의 강도 높은 규제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 부총리는 “해외 대학은 모두 지역사회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사회 발전, 지역사회 회생, 신산업 육성이라는 큰 흐름에서 봤을 때 우리 대학이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원 방식을 완전히 바꿔야한다”고 역설했다. 

이와 함께 교육부의 일하는 방식도 바꿔나가야 한다고도 했다. 이 부총리는 “대학들이 중앙정부를 보고 보고서를 쓸 게 아니라 지자체와 같이 일을 할 수도 있고, 교육부는 지자체와 같이 협력해 지역대학을 지원하는 방식을 ‘코디자인’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코디자인(co-design)이란 혁신 분야에서 많이 쓰는 말인데 소위 지자체장, 시장, 교육부가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부총리가 언급한 ‘코디자인’을 통해 국립대 사무국장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내비쳤다. 그는 “(앞서 언급한) 지역대학의 역할을 생각하면 지자체 협력관이나 산학협력 국장 등이  파견돼 지자체와 같이 협력하는 코디자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대학 규제 혁신을 두고 두 번째 기자간담회에서 지역대학 지원의 틀을 과감히 바꾸는 수준에서 활발한 논의의 장이 열렸으면 한다는 바람도 전했다. 

인구절벽 위기를 눈앞에 두고 이를 해결해야 할 사회부총리로서의 역할과 방향성에 대한 문제도 짚었다. 이 부총리는 “인구문제를 해결하는 단초와 수단이 사실 교육부에 많이 있다”고 전제한 뒤, “국가교육책임제 같은 경우에는 10살 정도 아이들까지 국가가 돌봄까지 다 책임지는 구조로 가고, 유보통합까지 다 이뤄져 육아부담이 획기적으로 가는 상황으로 가면 출산율 제고에도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사회부총리의 역할을 강화함으로써 인구문제 해결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는 점을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취임사에서 밝힌 새로운 교육 방식에 대한 방향성도 언급했다. ‘모두를 위한 맞춤형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에듀테크’가 필요하되 교육의 본질은 수업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지난 정부에서 수시 정시 비율을 놓고 국가적인 논쟁이 벌어졌을 때 정말 참담한 느낌이었다. 사실 답이 없는 논쟁을 한 것이었다”면서 “답이 없었던 이유는 현장에서 수업이 안 바뀌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 부총리는 “교육의 본질로 돌아가야 한다. 선생님들의 수업에 집중하자는 것이고 수업이 혁신돼야 잠자는 교실을 깨울 수 있다. 수업 혁신의 보조적 수단은 ‘에듀테크’다. 입시 문제도 장기적으로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