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성 이사장 25일 ‘2022 전문대 UCN 프레지던트 서밋’ 세션 1 기조강연
‘미래 교육혁신과 대학경영’ 주제로 대학의 경영·교육 혁신 방향 설정 강조
미네르바스쿨·태재디지털대 ‘네오부티끄 대학’ 통해 전통적 대학 개념 지적

조동성 산업정책연구원 이사장(전 인천대 총장)이 25일 본지가 강원 강릉 스카이베이 호텔에서 개최한 ‘2022 전문대 UCN 프레지던트 서밋(UCN President Summit)’에서 세션 1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한명섭 기자)
조동성 산업정책연구원 이사장(전 인천대 총장)이 25일 본지가 강원 강릉 스카이베이 호텔에서 개최한 ‘2022 전문대 UCN 프레지던트 서밋(UCN President Summit)’에서 세션 1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한명섭 기자)

[한국대학신문 김의진 기자] “학생들은 미네르바 스쿨, 태재디지털대학교를 선택하고 있지만, 대학은 여전히 정부의 법적 자격 여부에만 집중해 이들의 약진을 간과한다. 기존의 대학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네오부티끄 대학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 없다. 지금의 위기를 피하고 싶은 위기라고 생각하지 말고, 대학 경영·교육 혁신에 도전할 만한 신바람이 나는 기회라고 생각하면 어떨까.”

조동성 산업정책연구원 이사장(전 인천대 총장)은 25일 본지가 강원 강릉 스카이베이 호텔에서 개최한 ‘2022 전문대 UCN 프레지던트 서밋(UCN President Summit)’에서 전통적 대학 개념에서 벗어나 사회(기업)에서 요구하는 교육기관으로의 혁신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이사장은 ‘미래 교육혁신과 대학경영’을 주제로 한 세션 1 기조강연자로 나서 ‘네오부티끄 대학’(NBU)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존의 시각, 전통적 개념의 대학에만 집착하는 현재 모습이 고등교육의 위기를 키웠다”며 “네오부티끄 대학이 약진하고 있는 국내외 상황에 눈 감는 불감증에서 빠르게 벗어나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네오부티끄 대학은 1~2개의 고도화·전문화된 전공에 특화한 교육기관을 말한다. 주로 기업이나 성공한 창업가, 컨설턴트·교수가 설립한 경우가 많고 현장에 100%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삼성전자가 설립한 ‘삼성디자인교육원(SADI)’이나 BBQ가 세운 ‘제너시스치킨대학’, 산업정책연구원(IPS)의 ‘서울과학종합대학원’이 대표적인 네오부티끄 대학이다. 한샘 창업자인 조창걸 전 회장이 미국의 미네르바 스쿨(Minerva School)을 벤치마킹해 최근 설립한 태재디지털대학교도 마찬가지다.

조동성 산업정책연구원 이사장(전 인천대 총장) (사진=한명섭 기자)
조동성 산업정책연구원 이사장(전 인천대 총장) (사진=한명섭 기자)

조 이사장은 “사회(기업)에선 현장에 100% 적합한 인재를 요구하고 있지만 기존 대학들은 이를 외면하고 있다”며 “대학에서 이를 하지 않으니 기업이 스스로 나서 네오부티끄 대학을 설립하는 것 아니겠나”라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인구절벽은 정원 외 외국인 유치로, 반값 등록금 이슈는 수익성 사업 개발로 돌파할 수 있다”며 “반면 (전통적 개념의) 대학 교육에 대한 사회(기업)의 외면은 변신을 위한 혁신이 없다면 극복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조 이사장은 “교육부에서 네오부티끄 대학에 법적 자격을 부여하지 않는다고 간과해선 절대 안 된다”며 “기업에서 인정하고, 세계가 인정하면 그만이다. 나아가 학생들이 실제 네오부티끄 대학에 진학하고 있는 이상 기존 대학들은 이들과의 경쟁을 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미래에는 기존의 획일적 교육, 전통적 개념의 대학들은 대부분 사라질 것”이라며 “기업의 요구에 맞춰 인재를 양성하는 것에 우리 대학들이 미래 혁신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 이사장은 그가 인천대 총장으로 있을 때 혁신을 시도했던 사례를 들며 이해를 도왔다. 그는 4년간 총장직을 수행하며 △예산 배정권을 현장에 위임 △중요 회의를 실시간으로 공개 △외국인 유학생 등록금의 5배 상향 조정 △대학 조직도를 거꾸로 뒤집어 혁신 주체로서 현장인력 위상 강화 △외국어 교과 프로그램 강화 등 혁신 과제들을 강도 높게 추진한 바 있다.

그는 “혁신은 껍질을 벗기는 아픔이 따를 정도의 힘들고 어려운 일이기에 피할 수 있다면 피하라”면서도 “만약 현재의 대학 모습이 만족스럽지 않고 행복하지 않다면 혁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잘 나가는 대학보단 어려운 대학이, 서울·수도권 대학보단 지방대학이, 일반대학보단 전문대학이 대학 혁신을 더 잘 할 수 있는 여건이 된다”며 “앞선 자는 뒤처지고, 뒤에 선 자가 앞서듯이 미래에는 혁신의 전문대가 중심이 된 시대가 반드시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