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자율성 강화하겠지만 그만큼 책무도 늘릴 것”
경쟁 교육이나 서열화 심화 우려에는 교육 주체와 소통 노력
사회부총리 역할 활성화 의지 피력, 교육격차 해소에 집중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가 30일 서울 여의도 교육시설안전원으로 출근하면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백두산 기자)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가 30일 서울 여의도 교육시설안전원으로 출근하면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백두산 기자)

[한국대학신문 백두산 기자]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는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교육시설안전원으로 인사청문회 준비를 위해 첫 출근길에 나섰다. 

이 후보자는 후보자 지명 소회를 밝히면서 “학생, 교사, 교수, 학부모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교육부 장관과 양극화의 악순환을 해소할 수 있는 부총리의 역할도 필요한 시기”라며 “교육과학기술부 당시의 경험과 교훈을 자산 삼아 막중한 임무를 보다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취재진이 모인 자리에서 경쟁 교육이나 서열화 심화 우려에 대해 “교육 주체들에게는 최대한의 자율을 주되 책무를 강화해야 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 계속 소통하면서 그 변화를 위해 함께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교육부 해체론과 관련해서는 “교육부를 폐지하자는 것은 아니다”며 “대학에 보다 많은 자유를 줄 수 있도록 과감하게 규제개혁을 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부연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가 30일 서울 여의도 교육시설안전원으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백두산 기자)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가 30일 서울 여의도 교육시설안전원으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백두산 기자)

이어 이 후보자는 사회부총리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범부처 노력이 필요하다”며 “만일 기회가 주어진다면 사회부총리 역할을 더 활성화시키고 싶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부의 새로운 역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이 후보자는 “팬데믹 이후 사회 내 격차가 많이 벌어졌다”며 “격차 해소를 위해 교육부를 넘어 사회 관련 부처들이 협력해 범부처적으로 교육격차부터 다른 사회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순애 전 장관의 사퇴 이후 52일 만에 지명된 이 후보자는 이명박 정부에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맡아 자율형사립고(자사고), 학업성취도평가, 대입자율화 등 신자유주의 경쟁체제를 교육현장에 도입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