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이연희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23일 오전 연구윤리 위반 의혹으로 논란을 산 송광용 교육문화수석 등 6명의 청와대 수석에게 임명장을 수여했다. 지난 13일 신임 수석비서관들의 임명안을 재가한 뒤 10일 만이다.

송 수석은 그동안 제자 논문 가로채기 및 중복 게재, 수당 불법 수령 등 연구윤리를 위반해 논란이 된 바 있다. 그는 지난 2004년 8월 제자 A씨가 송 수석에게 지도 받은 석사논문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도입과정에서 교육부와 전교조의 갈등 분석’과 상당 부분 유사한 논문 ‘NEIS 도입과정에서 교육부와 전교조의 갈등 상황 분석’을 같은 해 12월 교육행정학회에 발표했다.

지난 2005년 4월에 발표한 ‘원격교육을 통한 초등교원 연수 개별화 방안’ 논문 역시 2004년 송 수석이 논문 심사를 맡았던 서울교대 교육대학생의 논문과 상당 부분 일치했다.

본래 저작자인 두 제자의 이름은 제2저자로, 본인의 이름은 제1저자로 기재했다. 이처럼 저자명 기재 순서는 학계에서 인정받는 실적의 정도가 달라진다. 제1저자는 연구실적을 100% 인정받는 반면, 제2저자는 많아야 50%밖에 인정받지 못한다.

송 수석은 지난 1981년부터 2006년까지 발표한 논문 30편 중 3편이 다른 학술지에 거의 그대로 실렸다는 ‘자기표절’ 의혹에도 휩싸였다.

송 수석은 모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제자의 요청에 따라 제1저자로 기재된 것일 뿐 표절의 의도는 없었다”고 밝혔으며, 불법수당 수령 의혹에 대해서는 “정부 예산집행지침상 해석의 차이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