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특색 따라 권역별 안배 필요했다는 지적도

[한국대학신문 이연희·정윤희·이재익 기자]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코어)에 신청했다가 탈락한 지역거점국립대 4곳 중 3곳은 총장이 공석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7일 교육부가 발표한 코어사업 결과에 따르면, 코어사업에 신청한 국공립대 중에서는 서울대, 경북대, 전남대, 전북대, 충북대 등 6개 대학이 선정됐지만 부산대, 충남대, 강원대, 경상대는 탈락했다. 탈락 대학 네 곳 중 최근 총장이 선임된 충남대를 제외하면 모두 총장이 공석이다.

이들 대학은 강력한 리더십을 토대로 학사구조개편, 학위프로그램 등을 마련한 다른 대학과는 달리 권한이 약한 직무대리 체제에서는 사업을 힘 있게 끌고 가기 어려웠다고 입을 모았다. 선정된 경북대는 역설적으로 장기간 공석으로 직대체제가 고착돼, 나름대로 도전이 가능하지 않았겠느냐는 평이다.

경남지역 거점대학인 경상대는 “총장직무대리 체제에서 학과의 참여를 유도하고 ‘혁신’적인 프로그램을 꾀하기에는 분명 한계가 있었다”고 밝혔다. 강원대 역시 최근 총장 선출을 앞두고 분위기가 들떠있었다는 평이다. 온 학교가 거기에 집중하다보니 준비가 미흡했다는 뜻이다. 강원대는 아직 추가공모 여부도 결정하지 못했다.

아직 총장임용제청을 받지 못한 부산대도 마찬가지다. 다만 평소 기초학문분야에 대한 본부의 지원을 강화해 왔기 때문에 탈락 소식을 듣고도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이다. 또 전국국공립대학 중 유일하게 총장직선제를 택하고 있는 만큼 이에 따른 가산점 누락이 탈락의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란 분석도 내놨다.

부산대 관계자는 “내부에서는 총장선출방식으로 인한 가산점 3점을 받지 못한 것이 탈락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며 “우리 대학은 지난해부터 발전기금 8억원을 인문학과 예술 등 기초학문에 전격 투입하기로 했고, BK21플러스 중간평가에서도 인문계열 사업단은 탈락하지 않을 만큼 실적도 탄탄하다”고 항변했다. 부산대는 이의신청 또는 추가공모 신청여부를 곧 결정할 예정이다.

코어 사업은 본래 국립대 사업이라는 예측이 높았다. 산업수요에 맞춰 대규모 학사구조개편을 유도하는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은 사립대를, 기본적인 인문학 역량을 유지하기에는 국립대가 적격이라는 내부 평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결과는 신청한 전국의 9개 지역거점국립대 중 절반만 선정됐다. 추가공모가 남아있고 대부분 탈락대학이 재공모를 노리고 있지만 최대 7개 대학 선정 예정이라 최종선정을 장담할 수도 없다.

상황이 그렇다 보니 코어 사업이 보다 지역 권역별 안배가 필요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뒤늦게 나오고 있다. 경상대 한 보직교수는 “권역별 안배가 이뤄지지 않은 것은 시스템 오류”라며 “세계적인 인재도 지역적인 기반이 살이있는 인문학 속에서 자라나는 만큼 지역 안배가 중요했다”고 비판했다.

코어사업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던 지역의 한 대학 교수는 “수도권과 지방, 이 기준으로만 숫자 안배를 고려했다”면서 “권역별 세부 안배는 사실상 고려하지 않았던 부분으로 사업계획서의 논리, 현실 가능성 그리고 면접 참여자의 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