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손현경 기자]  청년들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는 ‘일 하면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곳’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서울시와 함께 만 34세 미만의 청년 구직자 1092명을 대상으로 ‘좋은 일자리 조건’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발표했다.

‘일 하면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곳’은 응답률 49.7%로 좋은 일자리 1위로 집계됐다. 이어 ‘좋은 직장 동료와 선배를 만날 수 있는 곳’이 응답률 16.8%로 다음으로 높았다. 그 외에는 ‘개인 노력으로 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곳(16.2%)’, ‘명예를 얻을 수 있는 곳(8.6%)’ 순으로 높았다.

좋은 일자리라고 생각하는 곳과 실제로 취업하고 싶은 회사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청년 구직자들은 ‘직원 복지혜택이 많은 회사(59.4%)’를 취업하고 싶은 회사 1위로 꼽았다. 뒤이어 ‘고용안정성이 높은 회사(46.5%)’, 야근이 없고 휴가 사용이 자유로운 등 ’근무여건이 좋은 회사(43.9%)‘, ’연봉이 높은 회사(32.1%)‘ 순이었다.

취업하기 좋은 회사인지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는지 물어본 결과 ‘직원 복지제도(68.1%)’와 ‘회사 연간 매출액 규모(46.8%)’, ‘채용공고의 채용직무 소개(30.4%)’ 등의 정보를 통해 판단한다고 답했다. 이외에는 ’회사가 위치한 지역(29.3%)과 ‘회사 홈페이지의 활성화정도(25.0%)를 살펴본다는 응답자도 있었다.

한편, 청년 구직자들은 취업활동을 하면서 자신감이 떨어지는 것이 가장 힘들다고 답했다.

취업준비를 하면서 체감하는 가장 어려운 점으로 계속되는 불합격으로 자신감이 떨어지는 것(44.5%)과 채용시장에 정규직 신입사원 채용이 적은 것(40.0%)이 힘들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그 외에는 ‘취업전략 등 정보를 찾기 어렵다(32.5%)’, ‘취업준비 비용이 부담스럽다(32.1%)’, ‘어느 회사가 좋은 곳인지 모르겠다(23.6%)’는 답변이 있었다.

취업에 성공하기까지 얼마나 걸릴 것으로 예상하는가에 대해서는 ‘6개월~1년’을 예상하는 응답자가 39.6%로 가장 많았고, ‘6개월 미만’을 예상하는 응답자는 33.5%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