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한양대, 건국대, 단국대, 조선대 등 전국 45개대 80여명이 참가한 이번 연수회는 디지털 시대를 맞아 대학 출판인들이 어떻게 준비하고, +대응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해결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안상형 회장, 김창규 실무위원장(한양대), 이규일 사무국장(서울대) 등이 +참여한 연수회 첫날은 한양대 윤영민(정보사회학) 교수의 '인터넷과 +출판의 미래'와 한국과학기술원 고기형(수학과) 교수의 '전자출판의 실제'를 주제로 한 초청강연이 진행됐다.
초청강연에서 윤 교수는 "앞으로 편집과 마케팅을 포함한 출판 산업 대부분이 인터넷을 통해 이뤄 질 것"이라며 "인터넷 서점은 대학출판부나 소규모 출판사가 독자를 찾는데 있어 대규모 상업적 출판사와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출판사들이 지적 재산권 보호에 대해 너무 걱정하는 경향이 있다"며 "지적 재산권의 가치를 십분 이용해 지적 재산권 소유주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전했다.
고 교수는 △전자책의 정의와 핵심요소 △전자책의 포맷별 종류와 비교분석 △전자책의 장치별 종류와 비교분석 △전자책 업계의 구성과 서비스 모델 △전자책의 제작과정 △전자책 업계 동향과 시장 전망 +△출판사의 전자책의 대비 전략 등을 강연한 뒤 전자책 제작과정을 직접 보여주기도 했다.
고 교수는 또한 한국대학출판부협회가 전자책 제작 및 유통을 위한 공동의 웹사이트를 개설, 제작과정의 노하우를 공유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절감하는 관리체계를 만들 것을 제안해 주목받았다.












































































